내부 퓨즈를 구비한 리튬 에너지 저장 장치
리튬 배터리 장치의 구조적 구성요소 및 물리적 특성의 개선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표준 리튬 이온 배터리는 단락과 관련된 특정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고온 발생 및 궁극적으로 화재가 발생된다. 배터리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적 우려가 이러한 문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개선은 얇은 금속화된 집전체(예로서 알루미늄 및/또는 구리), 높은 수축율 물질, 고온에 노출시 비전도성으로 되는 물질, 및 이들의 조합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선은 단락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고온 결과를 방지하는 타겟 리튬...
Saved in:
Main Author | |
---|---|
Format | Patent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07.05.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Summary: | 리튬 배터리 장치의 구조적 구성요소 및 물리적 특성의 개선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표준 리튬 이온 배터리는 단락과 관련된 특정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고온 발생 및 궁극적으로 화재가 발생된다. 배터리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적 우려가 이러한 문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개선은 얇은 금속화된 집전체(예로서 알루미늄 및/또는 구리), 높은 수축율 물질, 고온에 노출시 비전도성으로 되는 물질, 및 이들의 조합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선은 단락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고온 결과를 방지하는 타겟 리튬 배터리 자체 내에 표면적으로 퓨즈를 제공함으로써 타겟 리튬 배터리 내의 특정 결함(덴드리트, 예상하지 못한 전기 서지 등)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개선을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이 또한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된다.
Improvements in the structural component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battery articles are provided. Standard lithium ion batteries, for example, are prone to certain phenomena related to short circuiting and have experienced high temperature occurrences and ultimate firing as a result. Structural concerns with battery components have been found to contribute to such problems. Improvements provided herein include the utilization of thin metallized current collectors (aluminum and/or copper, as examples), high shrinkage rate materials, materials that become nonconductive upon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and combinations thereof. Such improvements accord the ability to withstand certain imperfections (dendrites, unexpected electrical surges, etc.) within the target lithium battery through provision of ostensibly an internal fuse within the subject lithium batteries themselves that presents undesirable high temperature results from short circuits. Battery artic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cluding such improvements are also encompassed within this disclosure. |
---|---|
Bibliography: | Application Number: KR20207009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