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H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정착부(110)의 전방과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긴장재(130); 정착부(110)의 전방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정착부(110)와 헤드부(120) 사이의 긴장재(130)는 그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JANG DONG WOON
Format Patent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05.07.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지반(1)에 굴착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앵커구조물(A)은 천공홀(2)의 후방 영역에 위치되는 정착부(110); 천공홀(2)의 입구에 설치되는 헤드부(120); 정착부(110)의 전방과 헤드부(120)에 후방과 전방 단부가 각각 정착되는 긴장재(130); 정착부(110)의 전방 영역에 후방 단부(141)가 고정되고, 전방은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되는 변위측정부(140);를 포함하되, 천공홀(2)에는 그라우트(200)가 충전되고, 정착부(110)와 헤드부(120) 사이의 긴장재(130)는 그라우트(200)와 비부착구조로 설치되고, 변위측정부(140)의 후방 단부(141)를 제외한 전 영역이 그라우트(200)와 비부착 구조로 설치되며,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지반(1)으로 노출된 변위측정부(140)의 노출부(142)에는 긴장재(130)의 긴장력(P) 손실로 인해 발생한 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143)가 형성된다. 식별부(143)는 변위측정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L)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부(142)의 부식을 방지하고, 눈금(L)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식별부(143)는 눈금(L) 간격을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교번되어 도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긴장재(130)의 손실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변위측정부(140)가 설치된다. 기존의 앵커구조물에는 긴장재의 손실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었다. 때문에 앵커구조물 설치이후, 긴장재에 손실이 발생하여도 그 정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긴장재(130)의 손실정도를 변위측정부(140)의 식별부(14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별부(143)는 도 6과 같이 눈금(L)이 표시되어 있거나, 도색되어 식별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Bibliography:Application Number: KR20170180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