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xiliary device for handling of steering wheel

PURPOSE: An auxiliary device for operating a steering wheel is provided to minimize injuries of a driver by lowering a shaft with the degree of shock when some parts of the driver collide with a knob. CONSTITUTION: An auxiliary device for operating a steering wheel is composed of a body(30), a shaf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YEO, JONG GU, KIM, HEE NYUN
Format Patent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28.11.2003
Edition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An auxiliary device for operating a steering wheel is provided to minimize injuries of a driver by lowering a shaft with the degree of shock when some parts of the driver collide with a knob. CONSTITUTION: An auxiliary device for operating a steering wheel is composed of a body(30), a shaft(50), and a knob(20a). The body has a clamp(10)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t the side, a hollow part, and a key(30a) protruded and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hollow part. The shaft of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tacted and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body includes a push rod(40) descended by external impact and slidably supported by the key to radially push the key. The knob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haft and has a trigger rod(20b) arranged at an axis identical with the push rod of the shaft to descend by external impact and to strike and lower the upper part of the push rod. 본 발명은 핸들조작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측에 핸들과 연결되는 클램프(10)가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이 중공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탄력지지되는 키(30a)가 구비되는 몸체(30)와, 이 몸체(30)의 중공으로 외주면이 밀착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하강되면서 몸체(30)의 키(30a)를 반경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이 키(30a)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푸시로드(40)가 배치된 샤프트(50)와, 이 샤프트(50)의 상단부를 덮어씌우고 그 내부에는 샤프트(50)의 푸시로드(40)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하강되는 동시에 상기 푸시로드(40)의 상단부를 가격하여 이 푸시로드(40)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트리거로드(20b)가 마련된 손잡이(20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주정차와 제한된 운전 조건에서 핸들조작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핸들조작 보조장치에다가 교통사고 등에 따른 소정의 충격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안전한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보조 장치가 갖는 충돌 사고시 등의 불가피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운전자의 치명적 상해 위험을 배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Bibliography:Application Number: KR20020028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