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ress Bank

PURPOSE: A business model for operating an address bank is provided to prevent a user from visiting a same bulletin board by making the address bank manage data. CONSTITUTION: An address bank collects addresses by checking notice boards and visitor's books having a public relations power, divi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JUNG, JIN SUK
Format Patent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12.01.2002
Edition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A business model for operating an address bank is provided to prevent a user from visiting a same bulletin board by making the address bank manage data. CONSTITUTION: An address bank collects addresses by checking notice boards and visitor's books having a public relations power, divided them by subject, and provides the divided address to a user. The address bank has an advertisement dispersion function so as not to make the advertisement flow into partial notice boards. The address bank prevents that the user visits again same notice board by managing data of the user. The address bank has a directory locking function for a fixed number of the advertisement and a notice board sticker advertisement function for putting more advertisement in a first page of the notice board.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주소은행의 운영에 관한 비즈니스 모델 (2) 발명의 목적 우리는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홈페이지를 만든다. 물건을 팔거나 자신의 사업을 홍보하거나 기타 어떤 지식을 알리기 위해 인터넷상에 집을 짓는다. 그러나 막상 기대와는 달리, 많은 돈과 노력을 들여서 만든 자신의 홈페이지는 다른 수천만개의 홈페이지들에 묻혀 어디에 있는지도 알수 없게 된다. 여러 검색 사이트에 등록을 해도 무수히 많은 홈페이지들과 섞여 해수욕장에 있는 수많은 모래알갱이들처럼 있으나마나 한 존재가 되어 버리기 십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홈페이지들을 방문해 게시판에 알리고 싶은 내용을 남겨 홍보하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는 많은 문제점과 번거로움이 있다. 우선 수백 개의 홈을 방문하다 보면 지난번에 다녀간 곳들을 다 기억할 수 없어 이미 방문했던 게시판을 또다시 방문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50% 이상의 홈페이지는 운영자가 전혀 관리를 하지 않거나 관리를 한다 해도 방문하는 이가 거의 없는 개업휴무 상태의 홈이므로 게시판에 글을 남겨도 홍보효과를 거의 기대하기 어렵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홈페이지를 들락거리면서 광고효과가 있는 게시판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주소은행에서 미리 홍보력이 있는 게시판과 방문록의 주소들을 조사하여 분류, 저장한 다음 사용자에게 이를 공급해 준다면 우리는 종래의 고생스러움과 시행착오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3) 발명의 구성 주소은행은 홍보력이 있는 게시판과 방명록의 주소들을 조사하여 분류, 저장하고 이를 필요한 이들에게 적절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각종 주소들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일은 우리가 컴퓨터로 하는 가장 일반적인 작업이므로 기술적으로는 아무문제가 없으나 엄청난 수의 홈페이지들을 일일이 방문하여 홍보력이 있는 게시판과 방문록을 찾아 주소들을 모으는 방대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홍보력이 있는 게시판이라 할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활성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단순히 주소들을 모아 분류 저장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공개하는 것만으로는 주소은행이 제기능을 할 수 없다. 사용자(소비자)는 동일한 게시판에 중복해서 글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무조건 처음 소개되는 게시판부터 순서대로 글을 올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처음 소개되는 디렉토리의 첫 번째 주소에는 거의 모든 사용자가 한번씩 글을 올리게 되고 하루에도 수 천개의 글이 하나의 게시판에 올라옴으로서 광고효과가 없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게시판의 기능까지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소은행은 이러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반드시 광고분산기능을 가져야 한다. 우선 디렉토리 단계에 있어서 어떻게 광고분산이 가능한지 알아보자. [그림 1]처럼 둥글게 디렉토리들을 배치해 놓은 것은 디렉토리의 시작과 끝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하여 광고가 처음 소개되는 디렉토리로 몰리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그림 2]처럼 청소년, 여성, 남성, 노인, 기타. 이렇게 디렉토리가 수평이나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중복방문을 피하기 위하여 처음 소개되는 청소년이란 디렉토리부터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광고를 분산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디렉토리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배열하되 클릭 횟수에 따라 배열순서가 달라지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란 디렉토리에 가장 많은 클릭 횟수를 기록하면 디렉토리의 배열순서가 달라져 여성, 남성, 노인, 기타, 청소년 순으로 바뀌게 만드는 것이다.(클릭 횟수가 가장 적은 디렉토리가 가장 앞으로 오도록 한다) 광고가 몰리는 현상은 디렉토리 단계에서도 나타나지만 동일한 디렉토리 내에서도 처음 소개되는 주소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즉 그 디렉토리를 선택한 모든 이들이 처음 소개되는 주소부터 글을 올리지만 어느 정도 작업을 하다 그만 두는경우도 많기 때문에 마지막에 존재하는 주소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글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주소은행이 사용자들에게 주소들을 순서대로 배정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즉 한 번 사용자에게 배정한 주소는 나머지 주소들이 전부 사용자에게 배정될 때까지 재배정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모든 주소에 골고루 광고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주소은행이 광고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분산해야만 하는 이유는 게시판이 가지는 특성 때문이다. 게시판은 첫 페이지에 광고가 존재할 때 가장 큰 홍보력을 가지며 다음 페이지로부터는 홍보력이 현격히 떨어진다. 그러나 게시판의 첫 페이지에 올릴 수 있는 광고의 수는 고작 10-15개 정도에 불과하다. 하루에 3개씩만 광고를 올려도 5일이 지나면 처음 올렸던 광고는 다음 페이지로 밀려나 광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4) 발명의 효과 그동안 우리는 무엇인가를 홍보하기 위해 인터넷 서핑을 하며 각종 게시판이나 방명록에 글을 올리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장시간 인터넷 서핑을 해야하고 홍보력이 있는 게시판을 찾기까지 수없이 많은 홈을 들락거려야 했다, 또한 자신이 이미 방문했던 게시판의 주소들을 다 기억할 수 없어 인터넷 서핑을 하다보면 수없이 같은 게시판에 다시 도착하는 오류도 반복해야 했다. 하지만 주소은행이 있으면 이러한 모든 불편을 없앨 수 있다.
Bibliography:Application Number: KR20010040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