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uous separating and discharge apparatus of floated dludge and sedimentation sludge

본 발명은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를 포함하는 처리수가 내부에 수용되는 처리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취하되, 상부는 중간 부분에 비해 확경된 확장부(12)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는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는 테이퍼부(13)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10)와; 다수 개의 연결부재(21)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주면에 연결된 채 상기 처리공간(11)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에는 소켓설치홀(22)이 형성되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CHOI YUNI, BAE HEE DONG, KIM DONG HYOUNG, KIM KWANG YU, CHOI YO HAN
Format Patent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26.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발명은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를 포함하는 처리수가 내부에 수용되는 처리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취하되, 상부는 중간 부분에 비해 확경된 확장부(12)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는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는 테이퍼부(13)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10)와; 다수 개의 연결부재(21)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주면에 연결된 채 상기 처리공간(11) 중앙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에는 소켓설치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설치부재(20)와; 상면이 막혀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켓설치홀(22)에 끼워져 설치되되, 상면 중앙에는 배관연결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30)과; 일측은 상기 본체(10) 측벽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수를 본체(1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단부는 상기 배관연결공(31a)에 끼워져 상기 소켓(30) 내부로 처리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처리수공급관(40)과; 관로상에 부상슬러지배출펌프(51)가 연결된 채 일측이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처리공간(11) 상부 중앙에 위치한 채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상기 소켓설치부재(20)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깔대기 형상의 슬러지수집기(52)가 연결되어 슬러지수집기(52)를 통해 부상슬러지가 수집되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부상슬러지배출관(50)과; 하부는 상기 확장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상기 본체(10)의 상부까지 연장된 채 상기 슬러지수집기(52) 둘레를 감싸 설치되어 확장부(12)의 내부까지 도달한 처리수 중의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이루어진 여과망(60)과; 상기 여과망(60)과 확장부(12) 내주면 사이에 위치한 채 여과망(60)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여과망을 세척하고 확장부(12)에 도달한 처리수 중의 부상슬러지로 하여금 슬러지수집기(52)로 이동시키는 부상부상슬러지유도장치(70)와; 일측이 상기 확장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어 처리공간(11) 내에서 부상하여 부상슬러지가 배출되고, 여과망(60)에 의해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관로 일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81)로 이루어져 있는 처리수배출관(80)과; 상기 본체(10)의 테이퍼부(13)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관로상에 침전슬러지흡입펌프(91)가 연결되어 있어 테이퍼부(13) 내부에 침전된 침전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침전슬러지배출관(90)과;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테이퍼부(13) 내부 중앙에 수직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축(101)과, 상기 중앙축(101) 상단에 연결되어 있되 하부는 원형의 판상을 이루고 상부는 원추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슬러지가이드부재(102)로 구성된 동공방지부재(100)와; 센서본체(111)가 상기 확장부(12)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봉(113)이 연결선(112)을 통해 센서본체(111)에 연결되어 있고, 감지봉(113)은 상기 슬러지수집기(52)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슬러지수집기(52) 상부의 부상슬러지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감지봉(113)의 하부는 라운드진 라운드부(114)로 이루어져 있는 부상슬러지감지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본 발명에 의해 슬러지수집기와 여과망 사이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고, 슬러지수집기에 부상슬러지가 잘 끼지 않도록 하여 부상슬러지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망의 세척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세척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부상슬러지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슬러지수집기의 직상부에 위치하고, 감지봉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수집기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말려 부상슬러지가 잘 협착되지 않아 감지 불량, 흡입 불량 등의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하폐수의 대용량 연속 처리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침전슬러지가 본체 하부의 벽면에 고이는 공동 현상을 최소화하여 침전 슬러지의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재차 여과 처리함으로써 슬러지 분리율을 가일층 높여줄 수 있게 된다.
Bibliography:Application Number: KR20230069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