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Design Shape of Two-Block Asymmetrical Cuts According to the Head Shape Division, Angle, and Slice Line

목적: 본 연구는 투 블록 형태로 무게 선은 우(대각) 라인, 형태 선은 좌(대각) 라인의 비대칭커트이다. 또한 두상영역분할, 각도, 슬 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과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방법: 골든 백 미디엄 포 인트, 백 포인트,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를 기점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상단 포인트 지점에서 10 cm, 왼쪽은 대각(V)라 인, 오른쪽은 대각(A)라인, 자연 시술 각도 0°, 두상 시술 각도 20°, 40°을 사용하였다. 결과: LGBM1, LB1은 투 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 21; no. 2; pp. 189 - 200
Main Author 국혜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투 블록 형태로 무게 선은 우(대각) 라인, 형태 선은 좌(대각) 라인의 비대칭커트이다. 또한 두상영역분할, 각도, 슬 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과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방법: 골든 백 미디엄 포 인트, 백 포인트,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를 기점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상단 포인트 지점에서 10 cm, 왼쪽은 대각(V)라 인, 오른쪽은 대각(A)라인, 자연 시술 각도 0°, 두상 시술 각도 20°, 40°을 사용하였다. 결과: LGBM1, LB1은 투 블록 형태의 비대칭 커트로 관찰되어 율동감, 신비감, 생동감, 리듬감, 역동감, 신선함이 나타났다. 그러나 LBNM1은 비대칭으로만 관찰되었다. 비대칭 커트는 좌우가 다르므로 이질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규칙적인 비대칭은 정돈과 균형의 조화미로 역동감, 생동감, 리듬감, 신 선함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슬라이스 라인을 측면에서부터 시작한 관계로 기울기가 뒷면에서 시작하는 것보다 적다고 사 료된다. 원랭스는 매끄러움, 가지런함, 무거움을 상징하고 그래쥬에이션은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을 동시에 갖고 있다. 결론: 좌우가 다른 비대칭 커트는 불균형으로 인해 신선함, 신비로움, 역동성, 생동감, 리듬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구성된 비대칭 커트는 창의적인 효과와 더불어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혼합 형태, 볼 륨커트, 전두부와 측두부의 디자인형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ISSN:2466-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