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본 연구 목적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지식, 중증도 분류에 대한 소요시간, 비판적 사고,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연구로, D시에 소재한 두 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34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7일부터 8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5; no. 8; pp. 2081 - 2089
Main Authors 김경진(Kyeng-Jin Kim), 김민지(MinJi Kim), 최문지(Moon-Ji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8.20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 목적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지식, 중증도 분류에 대한 소요시간, 비판적 사고,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연구로, D시에 소재한 두 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34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7일부터 8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진행 후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에 대한 지식(t=1.05, p=.303), 중증도 분류에 대한 소요시간(t=-4.52, p<.001), 비판적 사고(t=5.87, p<.001), 학습몰입(t=4.59,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학습에 대한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며, 간호교육에서 가상현실에 대한 활용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virtual reality-based mass casualty severity classification simulation program to assess emergency room nurses' knowledge of severity classification, the time required for severity classif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immersion. This single-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study involved 34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D City from July 17 to August 21,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and paired t-tests and deriv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post-program results showed changes in nurses' knowledge of severity classification (t=1.05, p=.303), the time required for severity classification (t=-4.52, p<.001), critical thinking (t=5.87, p<.001), and learning immersion (t=4.59, p<.001).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virtual reality-based mass casualty severity classification simulation program enhanced realism and learning immersion and would thus be helpful in preparing for disaster situations. Ultimately, the findings suggest the utility of virtual reality in nursing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8.2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