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적 리더십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책임성의 매개효과
최근 공공조직에서는 역동적인 정책환경에서 야기되는 복잡한 난제들을 해결하고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행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선에서 정책집행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책임성을 매개로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적극행정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전문적 책임성과 정치적 책임성에 정(+)의 영향을,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전문적, 정치적 책임성이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주는 점이 확인되었다. 변혁적 리더십과 적극...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직학회보 Vol. 21; no. 2; pp. 71 - 10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직학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4.21.2.71 |
Cover
Summary: | 최근 공공조직에서는 역동적인 정책환경에서 야기되는 복잡한 난제들을 해결하고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행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선에서 정책집행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책임성을 매개로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적극행정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전문적 책임성과 정치적 책임성에 정(+)의 영향을,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전문적, 정치적 책임성이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주는 점이 확인되었다. 변혁적 리더십과 적극행정 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역량감과 자기결정성, 전문적 책임성과 정치적 책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 적극행정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자기결정성, 역량감, 전문적, 정치적 책임성을 강화하고, 조직에서의 실질적인 영향력에 대한 기대감을 고양시킬 관리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ilitates pubic employees’ proactive actions to improv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pubic services, and how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nse of public accountability mediate these rel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employees in a public agency. The results find that employees’ proactive actions are positively affect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nse of professional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sense of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as dimension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active actions, while sense of meaning and impact at work do not have such effects. Employees’ sense of professional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are also found to mediat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active ac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managerial strategie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behaviors in motivating public employees’ proactive actions.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s://www.kaos.or.kr/board/board_view.php?bbs_id=docs&kbbs_doc_num=494&page=1&searchtype=kbbs_ext3&searchword=%C7%D0%C8%B8%BA%B8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24.21.2.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