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광수준에 따른 흰민들레묘의 생육과 광합성 반응
국화과(Asteraceae)에 속한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흰민들레는 약용작물로써의 잠재력은 높으나 재배방법이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아 대량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광처리가 흰민들레묘의 생육수준과 광합성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차광수준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활용하여 각각 35, 45, 60, 75, 99%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결과에서 초장, 초폭, 엽장, 엽폭과 같은 식물체의 지상부 크기는 75%...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42; no. 2; pp. 214 - 22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04.2024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40018 |
Cover
Loading…
Summary: | 국화과(Asteraceae)에 속한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흰민들레는 약용작물로써의 잠재력은 높으나 재배방법이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아 대량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광처리가 흰민들레묘의 생육수준과 광합성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차광수준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활용하여 각각 35, 45, 60, 75, 99%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결과에서 초장, 초폭, 엽장, 엽폭과 같은 식물체의 지상부 크기는 75%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뿌리의 길이,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차광수준이 낮아질수록 반비례하여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60–75% 차광수준에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능지수를 나타내는 엽록소 형광 매개변수인 PIABS 또한 이와 유사하게 60% 처리구에서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계II의 최대 양자 수율을 나타내는 매개변수인 Fv/Fm은 35–75% 차광수준 내에서 0.83–0.84 수준으로 나타나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99% 차광수준에서는 0.74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지표로 활용되는 형광 매개변수인 ΦDo, ABS/RC, DIo/RC는 35–75%의 차광수준까지 동등한 유의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정상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99% 차광수준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나 과도하게 높은 차광수준은 광계II의 반응중심의 일부를 불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흰민들레묘를 차광육묘할 때 지상부의 생육에 중점을 두는 경우60–75% 차광수준에서 재배할 것을 권고하며, 지하부의 경우 99% 차광수준을 제외하고 35–75%의 차광수준에서 육묘가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araxacum coreanum, a member of the Asteraceae family, is endemic to Korea and has high potential as a medicinal crop. However, as the cultivation method for T. coreanum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oper method by which to raise seedling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shading levels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T. coreanum were investigated. The shading treatment in this study had five levels: 35, 45, 60, 75, and 99%, respectively, designed with polyethylene shade films. The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highest with the 75% shading level, while the root length,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ended to increase as the shading level decreased.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s were highest at the 60–75% shading levels. PIABS, representing the performance index on an absorption basis, was highest at 7.13 at the 60% shading level, showing a trend similar to that of the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the shoots.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SII (Fv/Fm) was 0.83–0.84 at shading levels of 35–75%, but it decreased to 0.74 at the 99% shading level. ΦDo, ABS/RC, and DIo/RC showed equal significance levels from shading levels of 35–75% and belonged to the normal range. However, these indicators of stress were highest at the 99% shading level, indicating that setting an excessively high shading level could significantly inactivate the reaction center of PSII. In conclusion, for the cultivation of T. coreanum under different shading levels, it is recommended to utilize shading levels of 60–75% to enhance the shoot sizes and fresh and dry weights significantly. Additionally, for significant enhancements in root length and growth, it is recommended to use shading levels of 35–75%, specifically excluding the 99% shading level.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40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