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비법 시행에 따른 기계설비 성능점검을 통한 효과성 사례 분석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른 기계설비 성능점검을 통한 효과성에 대하여 사례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se 1, 2의 최근 에너지소비량 분석값은 공동주택의 사용 특성에 따라 전력 에너지소비량이 전체의 각 94.3%, 91.9%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Case 3 의료시설은 흡수식 냉온수기 사용 등으로 인해 가스 에너지소비량이 전력 에너지소비량 대비 약 44%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se 4 업무시설과 Case...
Saved in: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5(1) Vol. 35; no. 1; pp. 44 - 5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3.35.1.044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른 기계설비 성능점검을 통한 효과성에 대하여 사례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se 1, 2의 최근 에너지소비량 분석값은 공동주택의 사용 특성에 따라 전력 에너지소비량이 전체의 각 94.3%, 91.9%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Case 3 의료시설은 흡수식 냉온수기 사용 등으로 인해 가스 에너지소비량이 전력 에너지소비량 대비 약 44%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se 4 업무시설과 Case 5 교육연구시설의 경우 기관 내 서버실 항온항습기 사용으로 인해 전력 에너지소비량이 가스 에너지소비량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Case 4 업무시설의 경우 그 수치가 약 4배 가량 차이가 났다. Case 6 숙박시설의 경우 가스 에너지소비량이 전력 에너지소비량 대비 약 94%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흡수식 냉온수기 사용 등으로 인해 동절기 외 8월에도 에너지소비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기계설비 효율 개선 이후 에너지 절감량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se 1, 2 공동주택의 경우 기계설비 효율을 20% 상향 개선할 경우 전체 에너지소비량은 각각 약 4.2%, 4.5% 절감 되었고 특히 주로 사용되는 난방부문에서 절감량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3 의료시설의 경우 효율을 약 30% 상향 개선할 경우 약 16.6%의 에너지소비량 절감이 있었으며 특히 간절기에 19.1%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Case 4 업무시설의 경우 효율을 약 30% 상향 개선할 경우 11.2%의 에너지소비량 절감이 있었으며 전력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하절기에 12.9%, 가스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동절기에 약 32.6%로 그 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Case 5 교육연구시설의 경우 기계설비 효율을 약 30% 상향 개선할 경우 5.1%의 에너지소비량이 절감되었다. 전력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하절기에 9.8%로 큰 절감률을 보였으며, 가스에너지소비량의 경우 동절기에 8.9%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Case 6 숙박시설의 경우 기계설비 효율을 30% 상향 개선할 경우 3.7%의 에너지소비량이 절감되었으며 이는 전력 에너지소비량은 하절기에 13%로 크게 나타났지만 건물 특성상 소비량이 많은 가스에너지의 절감률이 2.8% 수준으로 분석되어 전체적인 절감률이 다른 Case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른 기계설비 성능점검을 통한 효과성에 대하여 사례를 기반으로 직접적인 기계설비 이해관계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간략하게 업무의 효과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수치화된 에너지소비량을 통해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는 간략한 기계설비의 성능 효율 개선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변화 결과이며,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효과성 검토를 위하여 추후 기계설비 업무 전반에 따르는 초기 비용을 포함한 비용 분석과 회수기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enactmen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Act in April 2018 and the enforcemen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Act in April 2020, various task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the mechanical equipment industry, such as checking and maintaining mechanical equipment performanc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 sleigh industry, there are various expected effects such as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securing comfort and stability for residen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users other than exper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mechanical facility performanc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Mechanical Facility Act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and the effect was verified.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energy consumption decreased by 4.2% to 4.5% after improving mechanical facility efficiency, especially in the heating sector. In the case of medical facilities, there was a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of about 16.6%, with great effect during change of seasons. In the case of work facilities, power energy consumption was greatly reduced in summer and gas energy consumption was greatly decreased in winter, resulting in an 11.2%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Likewise, in the case of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power energy consumption in summer and gas energy consumption in winter were greatly reduced, showing a 5.1% reduction rate. Finally, in the case of accommodation facilities, gas energy, which accounted for a large amount of consumption, was reduced by 2.8%, resulting in a 3.7% reduction in overall energy consump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ournal.auric.kr/kjacr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3.35.1.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