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온톨로지를 적용한 서술형 강의평가 분석: 학생 중심 강의평가 플랫폼, ‘에브리타임’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서술형 강의평가 플랫폼인 에브리타임의 강의평가 텍스트를 분석하여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평가 요소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A 대학교 영역별 교양 강의 50개이다. 분석 방법은 단어 기반 온톨로지를 적용한 단어출현 빈도 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 평균 비교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술형 강의평가 텍스트에 존재하는 주요 강의평가 요소는 강의, 성적, 과제, 시험, 교수이며, 이 중 종합적인 강의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된 강의평가 요소는 성적과 교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강의평...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4) Vol. 24; no. 4; pp. 560 - 57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4.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4.560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서술형 강의평가 플랫폼인 에브리타임의 강의평가 텍스트를 분석하여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평가 요소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A 대학교 영역별 교양 강의 50개이다. 분석 방법은 단어 기반 온톨로지를 적용한 단어출현 빈도 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 평균 비교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술형 강의평가 텍스트에 존재하는 주요 강의평가 요소는 강의, 성적, 과제, 시험, 교수이며, 이 중 종합적인 강의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된 강의평가 요소는 성적과 교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강의평가 절대 점수가 높은 강의 집단과 낮은 강의 집단 사이에 교수, 과제, 성적 항목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으며, 성적에 대한 언급이 많고 교수에 대한 언급이 적은 강의의 강의평가 절대 점수가 높았다. 대학 차원의 강의평가를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학생들은 교수자의 특성보다 성적과 같은 실리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을 중심에 둔 대학 강의 개선의 실마리를 찾는 단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centered narrative lecture evaluation texts (Everytime) to identify key evaluation factors that influence lecture evalua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50 liberal arts lectures in different areas of A University. The analysis methods were word 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using word-based ontology, decision tree analysis, and Independence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lecture evaluation elements in the narrative lecture evaluation texts are lecture, grade, assignment, test, and professor, and among them, grade and professor are the main lecture evaluation element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lecture evalu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s of professor, assignment, and grade between the lecture groups with high and low absolute lecture evaluation scores, and lectures with more references to grade and fewer references to professor had higher absolute lecture evaluation scores. Contrary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nalyzing university-driven course evaluations, this study's finding that students seek tangible values, such as grades, rather than instructor characteristics, may provide clues to improving university teaching with students at the center.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4.5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