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 3D를 활용한 패션 굿즈 개발 연구

· 연구 주제: CLO 3D를 활용한 가방·구두 디자인· 연구 배경: 가방·신발로 대표되는 패션 굿즈는 관심도가 확장되고 있으나 샘플 제작의 비용이나 시간 소요의 어려움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이에 실물과 유사한 결과물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CLO 3D를 활용하여 다양한 패션 굿즈 제품 디자인의 제안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는 CLO 3D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또는 의상 디자인 제안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3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방·신발 종류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샘플링 방법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Vol. 32; no. 4; pp. 217 - 233
Main Author 김경아(Kyung-A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11.2024
인문사회과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4.202411.00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CLO 3D를 활용한 가방·구두 디자인· 연구 배경: 가방·신발로 대표되는 패션 굿즈는 관심도가 확장되고 있으나 샘플 제작의 비용이나 시간 소요의 어려움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이에 실물과 유사한 결과물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CLO 3D를 활용하여 다양한 패션 굿즈 제품 디자인의 제안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는 CLO 3D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또는 의상 디자인 제안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3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방·신발 종류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샘플링 방법을 단축하면서도 트렌드를 반영한 패션 굿즈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와 프로그램을 사용한 제품을 제작하는 실증적 연구· 연구결과: 첫째, 가상의 제품 제작을 통해 실물 제작 전 기획의도의 점검이 가능하다. 둘째, 디지털 환경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손쉬운 디자인 개선이 가능하다. 셋째, 즉각적인 시각적 확인을 통해 원단과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넷째, CLO 3D 프로그램에 패션 굿즈 관련 모듈이 보다 필요한 현황이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실물과 흡사한 프로토타입 제작으로 복잡한 제작 과정의 패션 굿즈 공정 과정을 단축시키며 관련 분야 연구 활성화 · Research topics: Bag and shoe design using CLO 3D · Research background: Interest in fashion goods, such as bags and shoes, is growing, but related research is not active due to the cost or time-consuming nature of sample produc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pose various fashion goods product designs using CLO 3D, which visually shows results similar to the real thing.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research is limited to research on the CLO 3D program or clothing design proposals. This study seeks to suggest fashion goods design that reflects trends while shortening the sampling method by proposing the design of bags and shoes using a 3D software program. · Research method: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o produce products using the program · Research results: First, through virtual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check planning intentions before actual production. Second, easy design improvement is possible through digital environment. Third, fabrics and shapes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immediate visual confirmation. Fourth, the CLO 3D program needs more modules related to fashion good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y producing prototypes similar to the real thing, it can shorten the complex fashion goods manufacturing process and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vitalizing research in related field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1830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4.2024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