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에 대한 심리상담사의 인식 연구

목적: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말더듬에 대한 심리적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심리상담사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심리상담사가 말더듬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말을 더듬는 사람을 대상으로 통합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 지역의 사설센터에서 근무하는 총 67명의 심리상담사가 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2; no. 4; pp. 41 - 50
Main Authors 심예원(Yewon Shim), 이경재(Kyungjae Lee), 최성희(Seong Hee Choi), 최철희(Chul-Hee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3.32.4.0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말더듬에 대한 심리적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심리상담사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심리상담사가 말더듬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말을 더듬는 사람을 대상으로 통합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 지역의 사설센터에서 근무하는 총 67명의 심리상담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알라바마 말더듬 지식 평가(ASK), 이분적 형용사 척도, POSHA-S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평가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에 대한 인식이 임상 경력, 말더듬에 대한 심리상담 제공 유ㆍ무, 말더듬 친지 유ㆍ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임상 경력의 경우 참여자들의 평균 임상 경력인 7년을 기준으로 하여, 임상 경력이 오래된 집단은 ASK 점수와 POSHA-S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최근 5년 이내 말더듬에 대한 심리상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더 높은 ASK 점수와 POSHA-S 점수를 보였다. 말더듬 친지가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은 ASK 점수와 일부 영역에서 더 높은 이분적 형용사 척도 점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상담사의 말더듬에 대한 지식의 개선은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인식의 개선에는 보다 더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말더듬에 대한 종합적인 중재에 보다 효율적인 심리상담사의 참여를 위하여 심리상담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식 개선 노력이 장기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Purpose: Various groups of people exhibit negative perceptions toward stuttering. However,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stuttering among psychological counselors, who can provid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stuttering,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counselors about stuttering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perceptions. The goal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assist in offering integrated treatment for individuals who stutter. Methods: A total of 67 psychological counselors working at private centers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y completed Alabama Stuttering Knowledge Test (ASK), bipolar adjective scales, and POSHA-S. We deter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tuttering, as measured by thes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provis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stuttering, and knowing people who stutter. Results: The participants with longer clinical experience (7 years) showed higher scores in ASK and POSHA-S. Moreover, those who had experience of providing counseling for stuttering within the past 5 years showed higher scores in ASK and POSHA-S than those who had not. Those who know someone who stutters exhibited higher scores in ASK and some items in Bipolar Adjective Scale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know someone who stutt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psychological counselors’ knowledge of stuttering may be relatively easy. However enhancing overall perception may require long- term efforts.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involvement of psychological counselors in comprehensive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stutter, ongoing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through targeted interventions aimed at psychological counselors themselv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slhd.org/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3.32.4.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