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위험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2017년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였고, 국내를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CBDC(중앙 은행 디지털 통화) 발행을 검토하는 등 암호화폐를 가상자산으로 인정하고, 법의 테두리 내에서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장치를 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가상자산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지표들이 제안되었으나, 가상자산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평가 방법이 연구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상자산 산업의 현황과 가산자산 평...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5; pp. 1049 - 1060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5.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5.1049 |
Cover
Summary: | 2017년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였고, 국내를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CBDC(중앙 은행 디지털 통화) 발행을 검토하는 등 암호화폐를 가상자산으로 인정하고, 법의 테두리 내에서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장치를 마련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가상자산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지표들이 제안되었으나, 가상자산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평가 방법이 연구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상자산 산업의 현황과 가산자산 평가 관련 연구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상자산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업성 및 기술가치평가 경력을 보유한 10인의 전문가협의체를 구성하고, 델파이 분석을 통해 가상자산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핵심 지표를 산출하였다. The cryptocurrency market has grown rapidly since 2017; major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China, are attempting to establish institutional safeguards, reviewing the issuance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and considering cryptocurrency as a virtual asset. Although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criteria have been proposed to evaluate virtual assets comprehensively,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concerning the methods used to assess the risk of virtual assets as a tool to protect investo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virtual asset industry as well as of the studies related to virtual asset evaluation. In addition, we derived the criteria for risk assessment of virtual assets. For this purpose, we organized a consultative group of 10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business modeling and technology evaluation. Consequently, we derived the key criteria to evaluate the risk of virtual assets by Delphi analysis.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olicy-making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domain of virtual asse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5.1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