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을 반영한 대학 신입생 수학 진단평가 문항분석 및 사례연구
본 연구는 현 2015 교육과정을 반영한 신입생 대상 수학 진단평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의 2024학년도 신입생 대상 수학교과 진단평가의 사례를 분석했다. 중등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 학습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진단평가의 영역별 문항 구성 및 개발 난이도 설정, 성적분포를 확인했다.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문항분석을 통해 진단평가 실시 이후 성적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의 난이도 및 변별도를 산출하고 문항특성곡선을 통해 진단평가 문...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8) Vol. 24; no. 8; pp. 465 - 47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46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현 2015 교육과정을 반영한 신입생 대상 수학 진단평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의 2024학년도 신입생 대상 수학교과 진단평가의 사례를 분석했다. 중등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 학습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진단평가의 영역별 문항 구성 및 개발 난이도 설정, 성적분포를 확인했다.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문항분석을 통해 진단평가 실시 이후 성적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의 난이도 및 변별도를 산출하고 문항특성곡선을 통해 진단평가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했다. 수학 교과는 학문적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의 전공 교과 수강에도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교과목이나 교육과정의 잦은 변화와 문·이과 통합에 따른 수학 기초학습능력 저하는 대학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를 통해 A대학교의 진단평가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였고, 진단평가 이후의 학습지원으로 기초수학 특강 제공에 대한 커리큘럼을 제안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수학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thematics ability test for freshmen that reflects the current 2015 curriculum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ways to improve students' basic learn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ase of University A’s mathematics ability test for new students in 2024. By analyzing th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we determine the level of mathematics learning of college freshmen and examine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difficulty of each area of the mathematics ability test. After conducting the mathematics ability test, the difficulty level and discrimination of the quest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grade data,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thematics ability test questions was confirmed through the item characteristic curve. Through this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University A's mathematics ability test questions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basic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by proposing a curriculum for providing special lectures on basic mathemati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4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