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냥개비 등식 퍼즐 게임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성냥개비 게임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게임이다. 성냥개비 게임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자주 접하는 게임 형태는 주어진 초기 모양으로부터 제한된 개수의 성냥개비를 옮겨 수식을 완성하거나 기하학적 도형으로 변환하는 유형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어진 개수의 성냥개비를 옮겨 수식의 등식을 완성할 수 있는가?” 형태의 게임에서 그 가능 여부와 가능하다면 그 가능한 조합들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실험 결과 구현된 알고리즘이 일반 사람들이 편하게 즐기는 1~3개를 옮겨 수식의 등식을 완성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5; no. 4; pp. 1001 - 100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성냥개비 게임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게임이다. 성냥개비 게임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자주 접하는 게임 형태는 주어진 초기 모양으로부터 제한된 개수의 성냥개비를 옮겨 수식을 완성하거나 기하학적 도형으로 변환하는 유형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어진 개수의 성냥개비를 옮겨 수식의 등식을 완성할 수 있는가?” 형태의 게임에서 그 가능 여부와 가능하다면 그 가능한 조합들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실험 결과 구현된 알고리즘이 일반 사람들이 편하게 즐기는 1~3개를 옮겨 수식의 등식을 완성하는 문제 확인 및 고안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The matchstick game is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and genders. Although various versions of this game exist, the most common variant involves rearranging a limited number of matchsticks from a given initial configuration to either complete a mathematical expression or construct a specific geometric shape.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n algorithm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moving a given number of matchsticks to complete a specific equation and, if possible, identify the possible matchstick combin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checking answers of and designing games involving the rearrangement of one to three matchsticks to complete an equation, which is typically enjoyed by playe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4.25.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