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골하 관절의 종골 골연골 병변: 증례 보고

골연골 병변은 무릎과 발목 관절에는 비교적 흔히 발생하지만 거골하 관절에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목내측의 통증을 만성적으로 호소하는 21세 남자 환자에서 거골하 관절의 종골 관절면에 발생한 골연골 병변 증례를 경험하였다. 외상 후 만성적인 발목 내측통증의 감별진단에 포함하고, 초기에 면밀한 이학적 검사와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해야할 것이며, 우선 보존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되, 증상이 악화될 경우 여러가지 수술적인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osteochondral le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4; pp. 360 - 364
Main Authors 경민규(Min Gyu Kyung), 김주환(Joo-Hw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골연골 병변은 무릎과 발목 관절에는 비교적 흔히 발생하지만 거골하 관절에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목내측의 통증을 만성적으로 호소하는 21세 남자 환자에서 거골하 관절의 종골 관절면에 발생한 골연골 병변 증례를 경험하였다. 외상 후 만성적인 발목 내측통증의 감별진단에 포함하고, 초기에 면밀한 이학적 검사와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해야할 것이며, 우선 보존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되, 증상이 악화될 경우 여러가지 수술적인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osteochondral lesions are prevalent in the knee or ankle joints, lesions at the subtalar joint are exceptionally rare. This paper reports the case of a 21-year-old man who complained of chronic pain in the medial side of the left ankle, which was diagnosed as a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calcaneus involving the subtalar joint. This les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hronic medial side ankle pain after trauma, and the diagnosis should be made initially through a close phys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evaluation.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s are prioritized, but various surgical treatment methods may be considered if the symptoms worse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4.360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3.58.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