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영어 학습 플랫폼의 인터랙션 분석 및 평가

본 논문은 성취정서 유형별 영어 학습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인터랙션을 파악하여 활용안을 제시한다. 문헌연구에서는 플랫폼의 주력학습방식 차이 분류를 위해 성취정서에 따른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을 고찰하였다. 플랫폼 유형 분류 기준에 적합한 사례 앱 세 가지를 선정하고 각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해 학습 단계 별 세부 인터랙션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각 플랫폼의 인터랙션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 사용성 테스트, 카노모델을 진행하였다. 먼저 플랫폼 간 인터랙션의 유용성 및 만족도 평가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2) Vol. 23; no. 12; pp. 767 - 779
Main Authors 김난형(Nan-Hyung Kim), 김혜민(Hye-Min Kim), 강효진(Hyo-Ji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76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성취정서 유형별 영어 학습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인터랙션을 파악하여 활용안을 제시한다. 문헌연구에서는 플랫폼의 주력학습방식 차이 분류를 위해 성취정서에 따른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을 고찰하였다. 플랫폼 유형 분류 기준에 적합한 사례 앱 세 가지를 선정하고 각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해 학습 단계 별 세부 인터랙션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각 플랫폼의 인터랙션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 사용성 테스트, 카노모델을 진행하였다. 먼저 플랫폼 간 인터랙션의 유용성 및 만족도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플랫폼 간 학습 효과성 및 학습 용이성 파악을 위한 사용성 평가와 서비스 품질요소를 기준으로 인터랙션 요소를 비교하는 카노모델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영어 학습 플랫폼 유형 별 효과적인 인터랙션 타입, 즉 반복개선형, 약점보완형, 기록중심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 분야 플랫폼 개발 시 사용자 학습의 유형을 고려한 인터랙션 적용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effective user interactions within English learning platforms based on different achievement emotions, suggesting methods for their utilization. A literature review established criteria for classifying platforms by achievement emotions and considered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Three apps fitting these criteria were chosen for detailed interaction analysis at each learning stage. The empirical research included surveys, usability tests, and Kano model evaluations to assess platform interactions. Initially, a survey assessed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ith cross-platform interactions. This was followed by a usability testing to measure learning effectiveness and ease across platforms, and a Kano model analysis to compare interaction elements based on service quality factors. The study identified three effective interaction types for English learning platforms: iterative improvement, weakness supplement, and record-centered.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latforms that consider user learning type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