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2 프로그램에서 건물 용도프로필이 에너지 성능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에너지 성능분석 프로그램인 ECO2에서 용도프로필이 부재한 건물에 대해 유사한 건물의 용도프로필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에너지 성능 분석결과의 오차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최근 정부 주도의 그린리모델링 대상건물이 어린이집의 보육실 같은 경우, 용도프로필이 부재하여 기존 프로그램에서 초중고 교실 용도프로필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2개의 어린이집(A, B) 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실제 에너지 소비량과의 오차는 각각 18%, 24%로 상당한 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20개...
Saved in: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6(7) Vol. 36; no. 7; pp. 332 - 34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01.07.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4.36.7.332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에너지 성능분석 프로그램인 ECO2에서 용도프로필이 부재한 건물에 대해 유사한 건물의 용도프로필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에너지 성능 분석결과의 오차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최근 정부 주도의 그린리모델링 대상건물이 어린이집의 보육실 같은 경우, 용도프로필이 부재하여 기존 프로그램에서 초중고 교실 용도프로필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2개의 어린이집(A, B) 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실제 에너지 소비량과의 오차는 각각 18%, 24%로 상당한 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20개 어린이집에 대한 장기 실측을 통해 어린이집 보육실에 특화된 용도프로필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용도프로필을 적용할 경우, 분석 대상 어린이집 A, B에 대해 실제 에너지 소비량과 예측치와의 오차는 각각 13%, 6%로 나타났다.
다른 조건은 동일한 상황에서 용도프로필만 변경하는 경우의 냉방, 난방, 급탕, 조명, 환기 에너지 소요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차이는 냉방과 난방에서 발생하였으며, 환기, 급탕, 조명도 30% 내외의 차이를 보였다. 기존 초중고 교실의 경우는 어린이집 보육실에 비해 재실시간이 다소 짧으며, 방학으로 인해 연간 운전 시간도 적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보육실외에도 현재 국내 용도프로필에서는 제공되고 있지는 않는 건물에 대한 용도프로필을 작성할 계획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rrors in energy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when using a similar building's usage profile for buildings without usage profiles in the domestic building energy analysis program, ECO2. Specifically, the analysis applies the existing ECO2 profiles for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when targeting facilities like daycare center classrooms, where usage profiles are missing due to recent government-led green remodeling. However,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wo daycare centers (A, B) revealed significant errors of 18% and 24%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actual energy consumption. To address this issue, specialized usage profiles for daycare center classrooms were developed based on long-term measurements from 20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hen these newly developed profiles were applied, the errors between actual energy consumption and predictions for daycare centers A and B were reduced to 13% and 6%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journal.auric.kr/kjacr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4.36.7.3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