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거주민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 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에 초점을 두고,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2 장에서는 쇠퇴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3장에서는 실증분석에 활용한 사용자료 및 분석방법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요약하였고,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Saved in:
Published in | 국토계획 Vol. 59; no. 5; pp. 105 - 11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4.10.59.5.10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거주민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 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에 초점을 두고,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2 장에서는 쇠퇴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3장에서는 실증분석에 활용한 사용자료 및 분석방법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요약하였고,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정리하였다. In 2021, the government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depopulated areas by designating 89 regions across the country as declining areas. While previous literature emphasized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among subgroups within declining areas, it mainly illuminated discrepancies based on objective and absolute status levels. This study, however,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social status”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was higher compared to residents in non-declining areas. Particularly,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subjective prospect of upward mobility, the greater the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ubjective social status” when examining disparities among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This implies that as local conditions change, the gap in life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could widen further. This study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considering typification based on subjective social statu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4.10.59.5.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