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2학년 난독 아동의 이야기 표현 특성
목적: 이 연구는 초등 2학년 난독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방식을 통해 두 집단의 이야기 표현 능력(구문, 구성 능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난독 아동 14명,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난 뒤, 들었던 이야기를 다시 말하게 하였다. 산출한 이야기를 토대로 아동의 구문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총 C-unit의 수, 총 종속절의 수, 종속절 유형별 수를 구하고 구성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 문법 회상률, 이야기 문법...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33; no. 1; pp. 35 - 4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이 연구는 초등 2학년 난독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방식을 통해 두 집단의 이야기 표현 능력(구문, 구성 능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난독 아동 14명,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난 뒤, 들었던 이야기를 다시 말하게 하였다. 산출한 이야기를 토대로 아동의 구문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총 C-unit의 수, 총 종속절의 수, 종속절 유형별 수를 구하고 구성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 문법 회상률, 이야기 문법 범주별 회상률을 구해 두 집단의 수행결과를 비교하고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차이를 검정하였다.
결과: 첫째, 전체 C-unit의 수와 총 종속절 수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난독 아동 집단보다 수행력이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간 종속절의 유형 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용절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전체 회상률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난독 아동 집단보다 수행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야기 문법 범주별 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이야기 문법 하위 범주 중 시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난독 아동은 이야기 구문에서 일반 아동에 비해 이야기 산출량과 구문 복잡성에서 수행력이 뒤처지며, 이야기 구성에서 일반 아동에 비해 이야기 짜임새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난독 아동의 평가나 치료 시 이야기 특징을 이해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ory expression skills between dyslexic (DY)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using the story retelling method.
Method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4 DY and 15 TD. After hearing a stor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tell it. To examine story expression skills, it was divided into syntactic and compositional skills; to examine syntactic skills, the number of C-units, total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and number of subordinate clause types were compared; to examine compositional skills, the recall rate of story grammar and the recall rate of story grammar categories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two groups was verifi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First, TD outperformed DY in total number of C-units and total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ypes of subordinate claus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only significant for quotation claus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overall story grammar recall.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numbers by story grammar,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mpts.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n terms of story syntax, DY lagged behind TD in terms of story output and syntactic complexity, and showed poor story structure compared to TD in story composition. This may provide a basis for considering story feature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dyslexia.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jslhd.org/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4.33.1.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