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요추부의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과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치료 효과 비교
목적: 요추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에서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와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진행된 후향적 연구로써, 3개월 이상 방사통이 지속된 L3/4, L4/5, L5/S1의 단일 분절에서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추관 협착증을 가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일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56명의 환자들은 A군으로, 그 중에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 받은 28명은 A1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로 치료받은...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7; no. 5; pp. 377 - 38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요추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에서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와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진행된 후향적 연구로써, 3개월 이상 방사통이 지속된 L3/4, L4/5, L5/S1의 단일 분절에서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추관 협착증을 가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일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56명의 환자들은 A군으로, 그 중에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 받은 28명은 A1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로 치료받은 28명은A2군으로 나누었으며, B군으로 분류된 72명의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 또한,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은 36명은 B1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로 치료 받은 36명의 환자들은 B2군으로 나누었다. 두 가지 접근법의 효과는 주사 전, 24시간 후, 1주 후, 3 개월 후 시점의 시각통증척도와 요통기능장애척도로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군(A1, A2, B1, B2)의 시각통증척도와 요통기능장애척도의 시술 24시간 후, 1주 후, 3개월 후의 경과 관찰에서 유의한호전을 보였다. A1군과 A2군, B1군과 B2군을 각각 비교했을 때 주사 후 24시간, 1주까지의 시각통증척도와 요통기능장애척도 값은 선택적 신경근 주사를 시행한 A2, B2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1군과 B1군, A2군과 B2군을 비교했을 때 주사 후 24시간, 1주까지의 시각통증척도 값은 선택적 신경근 주사를 시행한 B2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미추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와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모두 단일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호전을보였다. 특히,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비해 통증 조절에 대하여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단기적으로 효과가 좋았다. 이는 해부병리학적으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이 척추관 협착증의 후방 구조물의 병리를 해결함으로써 더 우월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audal epidural steroid injections (CESI) and selective nerve root blocks (SNRB) in the treatment of a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or spinal stenosis (S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from March 2017 to December 2018 included 12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ingle-level HIVD (L3/4, L4/5, L5/S1) or SS with radicular pain over 3 months. Of these, 5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ingle-level HIVD were in group A which was subdivided into group A1, undergoing CESI treatment (28 patients), and group A2, undergoing SNRB treatment (28 patients).The remaining 72 patients diagnosed with SS were in group B, and also subdivided into group B1, on CESI (36 patients), and group B2, on SNRB (36 patients).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score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of different approaches were compared at pre-injection, 24 hours, 1 week, and 3 months after injection.
Results: All the groups A1, A2, B1, and B2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VAS scores and ODI at 24 hours, 1 week, and 3 months after the procedure. When comparing the A1 and A2 groups and the B1 and B2 groups, the VAS scores and ODI at 24 hours and 1 week after the procedur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2 and B2 groups, who were treated with SNRB. When comparing the A1 and B1 groups and the A2 and B2 groups, the VAS scores at 24 hours and 1 week after the procedure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B2 group, who were treated with SNRB.
Conclusion: Both CESI and SNRB were effective in single-level HIVD and SS patients. Specifically, the effectiveness of SNRB was more prominent in the SS patients when compared with the HIVD patients. It can be considered that anatomically and pathologically, SNRB showed superior results by resolving the pathology of the posterior structure of S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2.57.5.377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2.57.5.3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