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국민연금이 미치는 영향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 연구 배경: 일반적으로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요주주인 국민연금이 과신 성향의 경영자가 수행하는 무리한 투자를 견제한다면,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를 수행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선행연구들은 지배구조 중 외국인 투자자, 이사회의 독립성 등이 기업의 투자 효율...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Vol. 32; no. 3; pp. 87 - 10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8.2024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2.3.202408.004 |
Cover
Summary: |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 연구 배경: 일반적으로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요주주인 국민연금이 과신 성향의 경영자가 수행하는 무리한 투자를 견제한다면,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를 수행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선행연구들은 지배구조 중 외국인 투자자, 이사회의 독립성 등이 기업의 투자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관투자자 중 최근 그 역할이 커지고 있는 국민연금이 경영자 과신성향으로 인한 과잉투자를 견제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존재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13,841 기업-연도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고, 경영자 과신성향과 국민연금이 주요주주인 경우를 나타내는 더미변수 간의 교호항을 설명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은 미래 경영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이 경영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지만, 국민연금이 주요주주인 경우에는 이러한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과신 성향이 강한 경영자가 미래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하는 것을 주요주주인 국민연금이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경영자를 견제하는 기관투자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존재한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n institutional inves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firm performance.
· Research background: It is generally known that managerial overconfiden -ce have a negative impact on firm performance. However, i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 major shareholder, checks excessive investments made by overconfident managers, the negative impact of managers' overconfident tendencies on firm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alleviated, so this study is conduct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mainly dealt with the impact of foreign investors and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o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but in this study,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hose rol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among institutional investors, is used by manager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we examined whether overinvestment due to overconfidence was checked.
· Research method: This study targets 13,841 listed companies in the company-year perio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irm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a dummy variable indicating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s a major shareholder as the explanatory variable.
· Research results: First, managerial overconfid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uture firm performance, a result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Second, although the managerial overconfid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firm performance, this negative impact is found to be alleviated when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is a major shareholder. This means that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 major shareholder, is playing a role in keeping managers with strong over-confidence in check from making decisions that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future firm performa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point in that it emphasizes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in keeping managers in check.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5450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2.3.202408.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