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트리티케일 품종 및 종자 가공유형별 이화학적 품질 특성 분석
트리티케일은 밀의 고품질과 호밀의 재해 내성 등 장점을 고려하여 두 작물을 인위적으로 교잡한 작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트리티케일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가치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품종 및 종자 가공유형별(통곡물, 가루, 기울) 이화학적 품질 성분 및 가공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산 트리티케일 8개 품종의 제분 수율은 평균 63.1%이고 57.4~66.9% 범위에서 새금강 밀(73.3%)보다 낮았다.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등 각 일반성분 함량에 대한 트리티...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11; pp. 1194 - 1204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1.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11.1194 |
Cover
Summary: | 트리티케일은 밀의 고품질과 호밀의 재해 내성 등 장점을 고려하여 두 작물을 인위적으로 교잡한 작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트리티케일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가치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품종 및 종자 가공유형별(통곡물, 가루, 기울) 이화학적 품질 성분 및 가공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산 트리티케일 8개 품종의 제분 수율은 평균 63.1%이고 57.4~66.9% 범위에서 새금강 밀(73.3%)보다 낮았다.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등 각 일반성분 함량에 대한 트리티케일 품종 및 종자 가공시료 유형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다(P<0.0001). 종자시료별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기울, 통곡물, 가루 순으로 높았다. SDS-PAGE에 의한 트리티케일 종자의 고분자 glutenin 분석 결과, 2개의 유전자좌(Glu-A1, Glu-B1)에서 7개의 인자에 의한 5개 그룹의 glutenin 분획 프로파일링으로 구분되어 종자 저장단백질과 연계한 품종 간 유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트리티케일 종자 단백질 함량은 글루텐 함량, SDS-침전가, farinograph 반죽 강도 특성에 영향을 주었다. 종자 배유내 전분에 대한 α-아밀라제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falling number 값은 품종 간 유의하나 새금강 밀보다는 낮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기울, 통곡물, 가루 순으로 높았고, 특히 조영, 조성, 신조성 등이 14% 이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국산 트리티케일은 밀 대체 식품가공 원료로서의 사용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기존의 전통적 범위를 넘어 새로운 기능성 용도 및 중간소재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is a hybrid crop combining the high quality of wheat and the abiotic tolerance of rye. In this study, its physicochemical quality and processing-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ultivars and grain-processing types (whole grain, flour, and bran). The milling yield of eight Korean triticale cultivars was in the range of 57.4~66.9%,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Saekeumkang wheat (73.3%).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nutritional components were observed by cultivars and grain-processing types (P<0.0001). The averag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high in descending order of bran, whole grain and flour. Five band pattern groups identified by sodium dodecyl sulfate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confirmed the genetic differences of high-molecular-weight glutenin profiling. The higher protein content in the triticale flour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gluten content, and affected the SDS-sedimentation values and dough strength measured on a farinograph.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in the whole grains of some cultivars of Choyoung, Joseong, and Shinjoseong were higher (>14%) than others. Domestic triticale needs extensive research beyond the scope of traditional use on its potential as a new source of industrial raw materia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11.11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