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이용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응답자 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대 스토리텔링 상호작용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캐릭터 애착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된 혁신특성 요인은 부분적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2) Vol. 24; no. 12; pp. 387 - 40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2.387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이용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응답자 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대 스토리텔링 상호작용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캐릭터 애착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된 혁신특성 요인은 부분적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은 캐릭터 애착, 적합성, 복잡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며, 직접적으로도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기술준비도 촉진요인은 상호작용성, 캐릭터 애착, 인지된 혁신 특성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간의 영향을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넷플릭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수용과정의 통합적 이해를 제공하며, 관련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Netflix interactive content and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users accept this new media cont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59 respondents aged 20-40 who have experience using Netflix interactive cont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er-to-storytelling interactivity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Second, charact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rd,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partially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Four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mediated the effects of character attachment, compatibility, and complexit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also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inally, technology readi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activity, character attachment,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cceptance process of Netflix interactive content, offer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ten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2.3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