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T로 측정한 경영자의 낙관성과 투자 의사결정의 관계

본 논문은 경영자의 낙관성이 기업의 투자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경영자의 낙관성 측정을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머신러닝 방법 중 하나인 Google에서 개발한 BERT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특히 기업이 자본제약 상태에 있을 때의 낙관성을 과신이라고 정의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경영자의 낙관성과 과신의 의미를 구분 지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경영자의 낙관성이 클수록, 현금흐름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부채비율이 클수록, 성장성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증권학회지 Vol. 52; no. 6; pp. 881 - 910
Main Authors 변진호(Jinho Byun), 최혜련(Hae Rin Choi), 이윤정(Yoon J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증권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8187
2713-5543
DOI10.26845/KJFS.2023.12.52.6.8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경영자의 낙관성이 기업의 투자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경영자의 낙관성 측정을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머신러닝 방법 중 하나인 Google에서 개발한 BERT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특히 기업이 자본제약 상태에 있을 때의 낙관성을 과신이라고 정의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경영자의 낙관성과 과신의 의미를 구분 지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경영자의 낙관성이 클수록, 현금흐름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부채비율이 클수록, 성장성이 높을수록 투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투자에 따른 장기성과와의 관계에서는, 낙관성이 크고 투자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자본제약 상태일 때 경영자의 과도한 낙관성인 과신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낙관적인 경영자의 기업일수록 투자 비율이 높다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며, 지나친 과신은 기업가치에 좋지 않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agerial optimism on corporate investment and performance. BERT’s methodology, a machine learning method developed by Google, was used to measure managerial optimism for companies listed on KSE (Korea Stock Exchange) and KOSDAQ from 2009 to 2019. Optimism, when there are capital constraints of companies, is defined as overconfidence, and unlike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of managerial optimism and overconfidence is distinguished.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higher the manager’s optimism, higher the cash flow, smaller the size of the firm, larger the debt ratio and lastly, higher the growth potential, higher the investment. Furthermore,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investment, higher optimism and investment was associated with higher corporate performance. Finally, when a company is in a capital constraint state, it was found that managerial optimism negatively affected corporate performance.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more optimistic managers have higher investment and that excessive optimism is not good for corporate valu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e-kjfs.org/journal/view.php?number=986
ISSN:2005-8187
2713-5543
DOI:10.26845/KJFS.2023.12.52.6.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