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교육에서의 비대면 의사소통 및 집단상담교육: 현황 파악 및 미래 방향 제시

간호사는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과 상담기술을 활용해 간호를 제공하므로, 간호사의 치료적 의사소통과 상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해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고찰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9∼2023년 사이에 출간된 국내/외 연구 8편을 고찰한 결과, 간호학생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시뮬레이션, 역할극 활용 교육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비대면 교육 방식 중 메타버스 환경 기반 교육은 실시간 슈퍼비전을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내담자들이 포함된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31; no. 4; pp. 149 - 157
Main Authors 한금선(Kuem Sun Han), 이수연(Soo Yeon Lee), 신지혜(Ji Hye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3.31.4.1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간호사는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과 상담기술을 활용해 간호를 제공하므로, 간호사의 치료적 의사소통과 상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해 비대면 교육방식에 대한 고찰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9∼2023년 사이에 출간된 국내/외 연구 8편을 고찰한 결과, 간호학생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시뮬레이션, 역할극 활용 교육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비대면 교육 방식 중 메타버스 환경 기반 교육은 실시간 슈퍼비전을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내담자들이 포함된 시나리오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므로, 집단상담 교육에 메타버스를 접목하여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Background: In nursing, the utilization of diverse therapeutic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techniques is crucial for effective nursing care.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d the present state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education for nurses so as to explore the applications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methods and to propose potential future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targeted academic research published in either English or Korean between 2019 to August 2023 on the topics of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Results: There were eight studies of non-contact education in communication or counseling published between 2019 and 2023. The review identified various educational interventions currently in use, such as online-based, blended learning, simulation, and role-play education. Conclusions: Among the various non-contact educational approaches, education based in the Metaverse shows promise due to its ability to offer real-time supervision and a wide range of virtual scenarios. Therefore, we suggest the incorporation of the Metaverse in group counseling education to enrich the learning experienc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3.31.4.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