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 빈도와 장르 선호도의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개인 방송 접근성, 장르 선호도가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 및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연구 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개인방송 접근성에서는 이용플랫폼 수와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장르 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게임 장르를 선호할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정(+)적으로 증가했다. 상호작용 효과를 보면 개인방송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정보 장르 선호도가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개인방송 이용빈도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1) Vol. 23; no. 11; pp. 654 - 66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1.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3.23.11.654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개인 방송 접근성, 장르 선호도가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 및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연구 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개인방송 접근성에서는 이용플랫폼 수와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장르 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게임 장르를 선호할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정(+)적으로 증가했다. 상호작용 효과를 보면 개인방송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정보 장르 선호도가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개인방송 이용빈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정보 장르 선호도가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활동 역시 증가했다. 이는 개인방송 이용량은 낮지만 정보 장르 선호도가 높은 이용자의 경우,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을 전통적인 TV 시청과 같은 방식으로 이용하여 소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보이는 반면에 개인방송 이용량과 정보 장르 선호도가 둘 다 높은 이용자의 경우 인터넷 개인방송을 정보검색 및 정보추구 콘텐츠로 활용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mainly examine the effects of users’ demographics, access to channels and platforms, use frequency, and genre preferences on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of personal media. The results show that the younger the users, the more the number of platform they used, the higher their use frequency, and the greater their preference for lifestyle and game genres, the more communication activities in personal media were. In terms of the interaction effect, use frequenc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genre preference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eople with lower use frequency but stronger information genre preference were not more likely to engage in communication activities than those with higher use frequency and stronger information genre preference. It implies that the former uses personal media in a similar way to traditional TV viewing, engaging in pas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while the latter actively participates in communication activities by employing it as a content source for search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3.23.11.6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