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이중관찰자법을 적용한 영양군 자작나무숲의 조류 발견율 추정

생태관광 프로그램으로서 탐조활동은 조류 보전과 경제적 효과 창출을 위해 좋은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경상북도 영양군 죽파리에 소재한 영양자작나무숲을 생태 관광지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된 가을철 서식 조류 조사에서 독립된 두 조사자의 조사결과 차이로 발견율과 개체수를 추정하는 독립이중관찰자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결과 2023년 10월 5일에는 17종이 조사되었는데, 조사자에 따른 차이는 없고 종에 따른 발견율에는 차이가 있는 모델[P(S,.)]이 가장 적합한 모델로 채택되어 총 197.98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11월 3...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류학회지 Vol. 31; no. 1; pp. 16 - 21
Main Authors 정석환(Seokwan Cheong), 정진우(Jin-woo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류학회 01.06.2024
한국조류학회II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179
2586-6893
DOI10.30980/kjo.2024.6.31.1.1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생태관광 프로그램으로서 탐조활동은 조류 보전과 경제적 효과 창출을 위해 좋은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경상북도 영양군 죽파리에 소재한 영양자작나무숲을 생태 관광지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된 가을철 서식 조류 조사에서 독립된 두 조사자의 조사결과 차이로 발견율과 개체수를 추정하는 독립이중관찰자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결과 2023년 10월 5일에는 17종이 조사되었는데, 조사자에 따른 차이는 없고 종에 따른 발견율에는 차이가 있는 모델[P(S,.)]이 가장 적합한 모델로 채택되어 총 197.98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11월 3일에는 조사자와 종에 따른 발견율에 차이가 있는 모델[P(S,I)]을 채택하여 18종 80.50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조사 결과는 영양자작나무숲을 찾는 탐방객에게 서식하는 조류를 소개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적용한 방법에 대해서는 두 조사자의 조사 능력이 같다고 가정하기 어렵고 시공간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한계는 있으나 종과 조사자에 따른 변수를 통한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율과 개체수를 추정함으로써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Birdwatching is an effective tool for bird conservation and brings economic benefits through ecotourism. To select birdwatching priorities in the Jukpari birch forest in Yeongyang-gun, where eco-tourism is being promoted, we identified bird species and populations by applying the independent double observer method, which estimates detection probability and population size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of two independent observers. In the field survey on October 5, 2023, 17 species were identified. The model [P(S,.)], which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detection probability of these species depends on the species but not the observer, was select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The model estimated a total of 197.98 individual birds occurring in the survey area. In November 3, 2023, the model [P(S,I)], which shows differences in detection probability depending on both the observer and species, was adopted. From the field survey, 18 species were actually observed and the model estimated 80.50 individuals occurred in the survey area. This method to estimate bird species and numbers can be used to set priorities for birdwatching programs in the Yeongyang Birch Forest. However, the method is limited in that it assumes that the two observers have the same ability to identify birds and operate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in time and space. Notwithstanding these constraints, the method can be considered a useful tool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probability estimate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observer.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179
2586-6893
DOI:10.30980/kjo.2024.6.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