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초등학생 자녀의 가족 공유 여가시간 비교: 2014년과 2019년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는 인간에게 있어 쉼과 일상의 활력을 불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가를 함께하는 사람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2014년과2019년에 부모와 초등학생 자녀가 함께한 여가시간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여가를 보낸시간은 주말의 경우 2014년에는 어머니가, 2019년에는 아버지가 더 많았으며, 주중에는 2014년과 2019년 모두 어머니가 더 많았다. 주말과 주중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여가를 보낸 시간은 2014년보다 2019년에 증가하였다. 주말에는 아버지의 시간 변화가컸으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가정과삶의질연구 Vol. 42; no. 3; pp. 137 - 150
Main Authors 박유경(Yookyeong Park), 김민정(Min Jeong Kim), 권순범(Soonbum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가정과삶의질학회 01.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65-1932
2765-2432
DOI10.7466/JFBL.2024.42.3.13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여가는 인간에게 있어 쉼과 일상의 활력을 불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가를 함께하는 사람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2014년과2019년에 부모와 초등학생 자녀가 함께한 여가시간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여가를 보낸시간은 주말의 경우 2014년에는 어머니가, 2019년에는 아버지가 더 많았으며, 주중에는 2014년과 2019년 모두 어머니가 더 많았다. 주말과 주중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여가를 보낸 시간은 2014년보다 2019년에 증가하였다. 주말에는 아버지의 시간 변화가컸으며, 주중에는 어머니의 시간 변화가 컸다.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요인 분해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시간 변화 모두 2014년도보다 2019년도에 자녀와 함께 여가 시간을 10분 이상 보낸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졌음에서 비롯되었다. 부모와 초등학생 자녀의 공유여가시간 변화에 주목하여 가족의 여가를 어떠한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지원 가능할지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Leisure time is a crucial part of our lives, providing rest and vitality to daily life. The people we spend leisure time with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This study compared the leisure time spent by parents with their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2014 and 2019. The analysis found that on weekends, mothers spent more time in 2014 while fathers spent more in 2019. On weekdays, mothers spent more time in both years. The amount of leisure time spent with children by parents increased in 2019 compared to 2014, with fathers showing a greater change on weekends and mothers on weekdays. The factor decomposition of these changes shows that both parents’ increases were driven by a higher proportion spending 10 minutes or more of leisure time with their children in 2019 than in 2014. By focusing on these changes in shared leisure time, we aim to inform policy considerations for supporting family leisure. KCI Citation Count: 0
ISSN:2765-1932
2765-2432
DOI:10.7466/JFBL.2024.42.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