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기 파프리카 재배 시 적절한 국산품종 선정을 위한 품종 간 생육 및 결실특성 비교

본 실험은 여름철 고온기와 장마기를 경과하는 강원도의 하계작형에서 외산품종과 국산품종의 생육과 착과 특성을 비교하였다. 2021년의 장마기간은 7월 3일부터 7월 19일까지 17일동안, 2022년은 6월 23일부터 7월 25일까지 33일이였다. 2021년의 장마기간 일일 평균 누적 광량은 1788.4J·cm-2, 2022년은 1293.1J·cm-2로 2022년이 2021년의 62%에 불과하였다. 적색계열의 품종의 초장은 2022년이 2021년 대비 10–37% 증가하였고, LAI의 또한 64% 증가하였다. 적색계열 품종 중 ‘K-G...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41; no. 6; pp. 674 - 685
Main Authors 김용호(Young-Ho Kim), 양휘찬(Hwi-Chan Yang), 양승호(Seong-Ho Yang), 김대현(Dae Hyun Kim), 장동철(Dong-Cheol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12.2023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실험은 여름철 고온기와 장마기를 경과하는 강원도의 하계작형에서 외산품종과 국산품종의 생육과 착과 특성을 비교하였다. 2021년의 장마기간은 7월 3일부터 7월 19일까지 17일동안, 2022년은 6월 23일부터 7월 25일까지 33일이였다. 2021년의 장마기간 일일 평균 누적 광량은 1788.4J·cm-2, 2022년은 1293.1J·cm-2로 2022년이 2021년의 62%에 불과하였다. 적색계열의 품종의 초장은 2022년이 2021년 대비 10–37% 증가하였고, LAI의 또한 64% 증가하였다. 적색계열 품종 중 ‘K-Gloria red’가 과장과 과폭 및 과중에서 다른 품종들에 비해 저조하였다. 황색, 주황색계열의 품종은 외산품종인 ‘Volante’와‘DSP7054’가 2021년 대비 2022년에 유사한 생육을 보였다. 장마기간중의 생산량은 ‘K-Gloria red’와 ‘DSP7054’를 제외한품종에서 2022년에 비해 2021년도의 생산량이 많았다. ‘Hera red’가 0.1kg·m-2으로 2021년과 2022년의 차이가 가장 적었고, ‘Ensemble’이 4.8kg·m-2로 가장 차이가 많이 났다. 황색과 주황색계열의 경우 외산품종에 비해 국산품종의 장마기간 생산량차이가 0.8kg·m-2, 1.5kg·m-2로 외산품종에 비해 저광 및 고온환경에서의 생산량이 저조하였다. 장마기 이전에 작기가 종료되는 단기재배는 초반 생육이 안정적지만, 장마기에 수확량이 저조한 ‘ARO-3R’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여름철 장마기를 경과하는 장기재배의 경우 장마기의 생산량 편차가 크지 않은 ‘Hera red’와 총 생산량이 많은 ‘K-Gloria red’, ‘K-Gloria yellow’ 및 ‘K-Gloria orange’가 농가 경영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domestic varieties of paprika grown during the hot and rainy summer season in Gangwon-do were compared. The rainy season in 2021 lasted 17 days from July 3 to July 19, and 33 days from June 23 to July 25 in 2022. The daily average integrated solar radiation during the rainy season in 2021 was 1788.4 J·cm-2, though this factor was 1293.1 J·cm-2 in 2022, which was only 62% of that in 2021. The plant height of the red varieties increased by 10–37% in 2022 compared to 2021, and the leaf area index (LAI) increased by 64%. The growth, width, and weight of fruits were lower in the ‘K-Gloria red’ variety compared to other red varieties. With regard to the yellow and orange varieties, the foreign varieties ‘Volante’ and ‘DSP7054’ showed similar growth levels in both 2022 and 2021. Production during the rainy season was higher in 2021 than in 2022 in varieties other than ‘K-Gloria red’ and ‘DSP7054’. ‘Hera red’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between 2021 and 2022 at 0.1 kg·m-2, and ‘Ensemble’ had the largest difference at 4.8 kg·m-2. For the yellow and orange series, the differences in production between the domestic varieties during the rainy season were 0.8 kg·m-2 and 1.5 kg·m-2 compared to the foreign varieties, and the yields in low-light and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foreign varieties. ‘ARO-3R’ is the proper variety for short-term cultivation, where the growing season ends before the rainy period, due to its stable growth in the early stages and higher yields prior to the rainy period. For long-term cultivation that passes the summer rainy season, ‘Hera red’, which does not show a large difference in production during the rainy season,and ‘K-Gloria red’, ‘K-Gloria yellow’, and ‘K-Gloria orange’, which have high total production levels, are judged to be helpful for farm management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23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