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분절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
목적: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분절 절제 후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0세(12–62)였으며 남자 5예, 여자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04개월(16–178)였다. 기능적 평가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환 부위는 대퇴골 5예, 상완골 1예, 경골 2예였다. 최종 진단은...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4; pp. 341 - 34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분절 절제 후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0세(12–62)였으며 남자 5예, 여자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04개월(16–178)였다. 기능적 평가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환 부위는 대퇴골 5예, 상완골 1예, 경골 2예였다. 최종 진단은 악성 골육종 5예, 다발성 골수종 2예, 법랑종 1예였다. 이식된 동종골의 평균 길이는 163 mm (110–195)였다. 동종골 내 고정은 골수강 내 금속정과 금속판 고정 4예,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2예, 나사못 고정 1예, 금속판 고정 1예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14주(10–18)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STS 점수는 20점(16–26)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불유합 3예, 내고정물 파손 2예, 감염 1예, 동종골 골절 1예였다. 최종 추시 시 지속적 무병 상태 6예, 유병 상태의 생존 2예였다. 3예의 불유합 중 2예의 환자에서 자가골 이식술과 반 피질 동종골 보강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의 내고정물 파손 중 1예에서 내고정물 교체를 시행하였다.
결론: 장관골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분절 절제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매우 유용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 부위와 숙주골 경계 부위의 불유합 가능성을 염두해야 할 것이다. 숙주골과 이식한 동종골의 접촉면이 넓을수록 유합률이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treatment outcomes of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segmental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an age was 40 years (range, 12–62). Five of the subjects were male, and three were femal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04 months (range, 16–178).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evalu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sessed by periodic radiologic follow-ups. Oncologic results were analyzed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 primary malignancies occurred in the femur in five cases, the humerus in one case and the tibia in two cases. The pathologic diagnoses were osteosarcoma in five cases, multiple myeloma in two cases, and adamantinoma in one case. The mean length of the allograft was 163 mm (range, 110–195). The fixations of the allograft were intramedullary nailing with an additional plate in four cases, intramedullary nailing in two cases, screw fixation in one case, and plate fixation in one case. The mean time to union was 14 weeks (range, 10–18). The mean MSTS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20 points (range, 16–26).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nonunion in three cases, implant failure in two cases, infection in one case, and an allograft fracture in one case. Six patients were continuous disease free and two patients were alive with disease at the final follow-up when assessed for oncologic outcomes. Autologous bone grafts and hemi-cortical onlay grafts were performed in two cases of nonunion and an implant change was performed in one case.
Conclusion: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segmental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long bones was an effective surgical opt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nonunion between the host bone and the allograft should be considered. It was observed that the wider and closer the contact between the host bone and allograft interface, the higher the union rate achieve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4.341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3.58.4.3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