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도시 주요 계획요소와 적용도 연구 : 3기 신도시 기본계획구상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를 둘러싼 제반여건 및 사회변화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불일치함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간구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차세대 도시개발의 중요한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이며, 이를 위한 복합도시계획은 사회, 문화, 예술, 산업, 도시설계 등 도시의 모든 영역에서 경계를 허무는 작업이다. 또한, 일하고, 쉬고, 즐기는 형태의복합적인 새로운 도시공간을 창출할 수 있고 사회적·경제적으로지속가능한 복합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핵심모델을 복합...
Saved in:
Published in | 국토계획 Vol. 59; no. 3; pp. 60 - 7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6.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4.06.59.3.60 |
Cover
Summary: | 도시를 둘러싼 제반여건 및 사회변화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불일치함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간구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차세대 도시개발의 중요한 키워드는 지속가능성이며, 이를 위한 복합도시계획은 사회, 문화, 예술, 산업, 도시설계 등 도시의 모든 영역에서 경계를 허무는 작업이다. 또한, 일하고, 쉬고, 즐기는 형태의복합적인 새로운 도시공간을 창출할 수 있고 사회적·경제적으로지속가능한 복합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핵심모델을 복합도시로 보고, 용도의 혼합, 공간이용의 유연성, 사회통합, 대중교통의 활성화, 압축개발 등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계획요소를도출하고 수도권 3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주요 계획요소 별 적용도를 평가하여 복합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방향과 기준 마련 등을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Despite Korea entering an era of population decline after 2020,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s in cities and the demand for urban land continue to increase due to the segmentation of households, desire for quality of housing, and knowledge-based urban industry. Therefore, the urban structure needs to be converted to one that can efficiently use urban space and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 The urban planning model that responds to changes in urban land and space demand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was defined as “complex urban planning” encompassing three-dimensional, mixed land use, and compact city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this study presents the planning elements necessary to realize this and suggests implication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planning element was determined via an expert survey on 51 complex city planning elements extracted through research results, planning theory, prev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cases. In addition, the degree of application was evaluated through the 3rd new town basic plan conception case, and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mplex city planning elements were present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4.06.59.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