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감염증의 대응방향과 과제: ODA를 중심으로

· 연구 주제: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바이러스 확산을 야기하는 정보감염증 대응을 위한 감염병 분야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국제사회에서는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ODA가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감염병 분야 ODA는 다른 보건의료 ODA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바이러스 확산을 야기할 수 있는 정보감염증에 대한 ODA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연구는 감염병 ODA를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기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Vol. 32; no. 1; pp. 121 - 145
Main Authors 문예찬(Yechan Moon), 김지혜(Jihy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2.2024
인문사회과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1.202402.006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바이러스 확산을 야기하는 정보감염증 대응을 위한 감염병 분야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국제사회에서는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ODA가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감염병 분야 ODA는 다른 보건의료 ODA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바이러스 확산을 야기할 수 있는 정보감염증에 대한 ODA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연구는 감염병 ODA를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기도 했지만, 주로 보건의료 분야의 하위 주제로 접근하거나, 많은 연구가 특정 감염병 혹은 지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정보감염증의 관점에서 감염병 ODA를 논의하며, 전염병 관리 및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분석 및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기존문헌을 통해 정보감염증과 감염병 분야 ODA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 코로나19, 에볼라바이러스, 메르스 등의 사례를 분석하여 정보감염증이 감염병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연구결과: 본 연구는 문헌분석 및 사례연구를 통해 메르스, 에볼라바이러스, 코로나19의 경우, 감염병 대응 및 예방에 관한 허위정보가 SNS를 통해 확산되며 감염병 대응 실패로 이어졌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보감염증의 발생이 SNS 발달과 연계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감염병 분야 ODA 이행을 위한 발전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정보감염증의 관점에서 감염병 ODA를 논의하며, 감염병 관리 및 대응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감염증 대응 및 방지에 관한 함의를 제공하여 지속가능한 ODA 구축과 개발도상국 감염병 방지에 기여할 것이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ectious Diseas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response to informational epidemics that can facilitate the spread of viruses during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 Research background: Although various ODA initiatives for solving different problems have been continuously implemen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field of infectious disease ODA is relatively underdeveloped compared to other health and medical ODA sector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discussion and systematic research on ODA concerning informational epidemics, which can exacerbate the spread of new infectious diseas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have treated infectious disease ODA as an independent topic or a subtopic within the broader health and medical field, often focusing on specific diseases or regions. Unlike these studies, this research discusses infectious disease ODA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al epidemics,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for epidemic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Research method: The study employ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It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al epidemics and infectious disease ODA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analyzes the impact of informational epidemics on infectious disease response by examining cases like COVID-19, Ebola, and MERS. · Research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study found that in the cases of MERS, Ebola, and COVID-19,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about disease management and prevention via social media led to failures in infectious disease response. It also highligh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informational epidemic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proposing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implementing infectious disease ODA.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research discusses infectious disease ODA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al epidemics, providing a new viewpoint for disease management and response. It contributes by offering implications for the response and prevention of informational epidemics, aiding in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ODA and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in developing countrie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1.2024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