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무용 건축물의 ENERGY STAR 등급 산정 평가

본 연구는 기축 건축물의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의 평가가 미흡한 국내 건축물 인증제도 보완하기 위해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으로 건축물 에너지를 평가하는 ENERGY STAR의 평가 방식을 국내 사무용 건축물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으로 도출된 EUI와 설계도서 기반으로 산정된 EUI로 설계도서와 실제 에너지 사용 데이터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건축물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바탕으로 평가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은 3등급으로, 설계도서 상으로 평가한 결과 대비 5등급 하향 조정되었다. 이는 설계도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설비공학 논문집, 37(2) Vol. 37; no. 2; pp. 55 - 62
Main Authors 장아민(Ahmin Jang), 김민호(Minho Kim), 이찬욱(Chanuk Lee), 유기형(Ki-Hyung Yu), 도성록(Sung Lok D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설비공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6422
2465-76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기축 건축물의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의 평가가 미흡한 국내 건축물 인증제도 보완하기 위해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으로 건축물 에너지를 평가하는 ENERGY STAR의 평가 방식을 국내 사무용 건축물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으로 도출된 EUI와 설계도서 기반으로 산정된 EUI로 설계도서와 실제 에너지 사용 데이터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건축물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바탕으로 평가한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은 3등급으로, 설계도서 상으로 평가한 결과 대비 5등급 하향 조정되었다. 이는 설계도서 기반 평가와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 평가 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건축물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 평가는 탄소 배출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 인증제도에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 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Predicted source EUI 산정에 사용된 레퍼런스 데이터는 ENERGY STAR에서 제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었기 때문에 국내 사무용 건축물에 대한 ENERGY STAR 반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확보를 통해 실제 에너지 사용량 기반 평가 방법 분석이 요구된다.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South Korea has set ambitious targe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2.8% by 2030 and 88.1% by 2050, compared to 2018 levels. With approximately 70% of Seoul’s carbon dioxide emissions coming from buildings, it is crucial to reduce emissions in this sector. In support of these effort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troduced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However, these systems mainly relied on design-based evaluations and provided limited assessments for existing buildings. This study applied the ENERGY STAR certific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actual energy consumption, to an office building in Korea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from design-based assessmen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hile the design-based Energy Use Intensity (EUI) rated the building as Grade 1+++, the actual energy use assessment resulted in a lower rating of Grade 3. This significant discrepancy highlights the need for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to incorporate actual energy usage data to more effectively support carbon reduction goal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ournal.auric.kr/kjacr
ISSN:1229-6422
2465-7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