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중기 및 후기 성인기에 따른 우울증 관련 요인과 식생활과의 연관성 분석 -2016,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초기, 중기 및 후기 성인기의 연령대에 따른 우울증 유병 여부에 연관성이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식생활 요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16년과 2018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종 분석 대상자는 초기 성인기 286명, 중기 성인기 462명, 후기 성인기 528명이었다. 우울군과 정상군과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행태, 식생활 실태와 영양소의 평균필요량(또는 충분섭취량)을 기준으로 적정 섭취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증 유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8; pp. 864 - 878
Main Authors 이수진(Soo Jin Lee), 류호경(Ho Kyung R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초기, 중기 및 후기 성인기의 연령대에 따른 우울증 유병 여부에 연관성이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식생활 요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16년과 2018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종 분석 대상자는 초기 성인기 286명, 중기 성인기 462명, 후기 성인기 528명이었다. 우울군과 정상군과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행태, 식생활 실태와 영양소의 평균필요량(또는 충분섭취량)을 기준으로 적정 섭취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증 유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기 성인기에서는 흡연 여부, BMI를 통한 비만 여부와 식이섬유소의 충분섭취량 섭취 여부, 아침 동반 식사 여부 순으로 나타났고, 중기 성인기에서는 소득 수준, BMI를 통한 비만 여부, 걷기 일수, 흡연 여부, 비타민 B2의 평균필요량 섭취 여부, 니아신의 평균필요량 섭취 여부, 지방의 적정섭취 비율 여부, 식이섬유의 충분섭취량 섭취 여부, 걷기 일수 순으로 나타났다. 후기 성인기에서는 소득 수준, 식품안전성 확보 정도, 걷기 일수, 영양표시 인지 여부, 흡연 여부, 아침 동반 식사 여부, 식이섬유의 충분섭취량 섭취 여부 순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우선순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초기 성인기에서는 흡연과 비만의 관리, 아침 동반 식사, 중기 성인기에서는 신체활동을 통한 비만관리, 금연과 비타민 B2의 적정 섭취 및 영양소의 균형적인 섭취, 후기 성인기의 식품안정성 확보와 영양표시의 인지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생활 요인은 정신적, 신체적 건강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우울증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식생활 관리가 우울증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the subjects, namely, young, middle, and late adulthood (YA, MA, LA, respectively). The study also sought to confirm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their association with diet. Raw data from the 2016 and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were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divided by age into YA (under 40 years), MA (between 40 to 65 years), and LA (over 65 years) groups. Among them, patients diagnosed with depression by a physician or with a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core of 10 or above were assigned to the depression group. Other subjects of the same gender and age were selected as the normal group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ccordingly, the final subjects for analysis comprised 286 in the YA, 462 in the MA, and 528 in the LA groups. A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s follows: In the YA group, the factors were lifetime cigarette smoking; BMI distribution and fiber intake; breakfast companion. In the MA group, they were income level; BMI distribution, walking, lifetime cigarette smoking, vitamin B2 intake; Niacin intake, percent of fat intake, and fiber intake. In the LA group, the factors were Income level; Food security status, walking, and nutrition label recognition; Lifetime cigarette smoking, walking, breakfast companion, and fiber intake. This study confirmed that dietary factors, which had not emerged as being of significance thus far, should be included in the preven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depression.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8.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