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미디어 기록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 트렌드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휴먼의 현재 활용 수준과 주요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공적 미디어 기록 중 하나인 뉴스 기록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휴먼이 언급되기 시작한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수집한 디지털휴먼 관련 뉴스 총 5,381건을 대상으로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1) 디지털휴먼 투자 확대와 글로벌 진출 가속화, (2)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휴먼 기술 혁신, (3) 디지털 휴먼 콘텐츠 확장과 스타트업 성장, (4)...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10; pp. 2315 - 2323
Main Author 김태영(Tae-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0.23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디지털 휴먼의 현재 활용 수준과 주요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공적 미디어 기록 중 하나인 뉴스 기록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휴먼이 언급되기 시작한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수집한 디지털휴먼 관련 뉴스 총 5,381건을 대상으로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1) 디지털휴먼 투자 확대와 글로벌 진출 가속화, (2)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휴먼 기술 혁신, (3) 디지털 휴먼 콘텐츠 확장과 스타트업 성장, (4)가상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브랜드 등 주요 4개의 주요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제적, 기술적, 비즈니스, 마케팅 차원에서 디지털 휴먼 관련 이슈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on news archives, a type of public media record,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of digital human utilization and the major trends in the fiel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as applied to a datasetcomprising 5,381 news articles related to digital humans, collected from January 1, 2020, to June 30, 2023. Topic modelinganalysis identified four primary trends: (1) the expansion of digital human investments and acceleration of global advancements,(2)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digital huma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3) the growth of startups through the expansionof digital human content, and (4) virtual influencer marketing and brand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esent insights andimplications regarding economic, technological, business, and marketing dimensions concerning digital human-related issues. KCI Citation Count: 1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0.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