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 분야 연구의 미래 조망: 간호행정학회지 게재 논문분석을 중심으로(2012-202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간호행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특성과 주요 변수 간 관련성을 분석하여 간호관리 연구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총 506편 논문의 연구설계와 연구대상자, 통계적 분석방법, 주요어, 핵심개념과 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게재논문의 73.5%는 양적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는 일반간호사(66.8%), 간호학생(9.1%)이 가장 많았다. 318편 논문(62.8%)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부분 급성기병원(81.5%)과 간...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5; pp. 553 - 56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간호행정학회
01.12.2023
간호행정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간호행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특성과 주요 변수 간 관련성을 분석하여 간호관리 연구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총 506편 논문의 연구설계와 연구대상자, 통계적 분석방법, 주요어, 핵심개념과 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게재논문의 73.5%는 양적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연구대상자로는 일반간호사(66.8%), 간호학생(9.1%)이 가장 많았다. 318편 논문(62.8%)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부분 급성기병원(81.5%)과 간호대학(9.7%)에서 이루어졌다. 통계적 방법은 independent t-test (81.2%), one-way ANOVA (77.2%),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77.2%), post-hoc test (74.3%), linear regression (65.9%)’의 순이었다. 2,058개 주요어 중에서 다빈도 주요어는 nurses (49.2%), job satisfaction (10.7%), personnel turnover (9.1%)의 순이었다. 다빈도 핵심 주제로는 job satisfaction (10.5%), turnover intention (9.5%), organizational commitment (8.5%), job stress (7.5%)의 순이었다. 가장 많이 연구된 변수로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는 turnover intention,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emotional labor 등이었다. 결론: 간호관리 분야에서 간호사 성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미래에는 간호실무와 간호정책이 환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ore variables, and their correlations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JKANA) from 2012-2021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nursing management research. Methods: A total of 506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udy design, participants and setting, statistical methods, keywords, and core concepts and variables.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73.5%, and most participants were staff nurses (66.8%) and nursing students (9.1%). Furthermore, 318 studies (62.8%) conducted surveys, and settings were mainly acute hospitals (81.5%) and nursing schools (9.7%).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included independent t-test (81.2%), one-way ANOVA (77.2%),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77.2%), post-hoc testing (74.3%), and linear regression (65.9%). Among 2,058 keywords, the most frequent were “nurses” (49.2%), “job satisfaction” (10.7%), and “personnel turnover” (9.1%). The most frequently core concepts were job satisfaction (10.5%), turnover intention (9.5%), organizational commitment (8.5%), and job stress (7.5%). The most frequently variables with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turnover intention,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job stress, burnout, and emotional labor. Conclusion: Most JKANA studies examined nursing-related outcomes and performance.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and policy on patient outcom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