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에 대한 빠른 검사와 안정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그래프 구축과 사용자 이동 경로

본 논문에서는 위급한 상황(예 : COVID-19)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빠르게 진행하기 위한 그래프기반 사용자 경로 제어와 이것을 도시 맵에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가상환경에서 많이 활용되는 길찾기(Pathfinding) 알고리즘인 A*나 네비게이션 메쉬 자료구조는 정해진 정적 이동 경로만을 안내하기 때문에 가상환경에서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CS(Computer science)문제에 적용할 할 경우 효율적이다. 하지만, 실제 COVID-19 환경에 적용하여 문제를 풀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빠른 바이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7; no. 8; pp. 135 - 142
Main Author 김종현(Jong-Hy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8.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2.27.08.13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위급한 상황(예 : COVID-19)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빠르게 진행하기 위한 그래프기반 사용자 경로 제어와 이것을 도시 맵에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가상환경에서 많이 활용되는 길찾기(Pathfinding) 알고리즘인 A*나 네비게이션 메쉬 자료구조는 정해진 정적 이동 경로만을 안내하기 때문에 가상환경에서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CS(Computer science)문제에 적용할 할 경우 효율적이다. 하지만, 실제 COVID-19 환경에 적용하여 문제를 풀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빠른 바이러스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짧은 거리만을 이용하는 게 아닌, 실제 도로 교통상황, 병원의 크기, 환자 이동 수, 환자 처리 시간 등 고려해야 할 상황들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속성들과 이를 이용한 최적화 함수를 모델링하여, 실제도시 맵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다양한 상황을 디지털 트윈 방식으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based user route control for rapidly conducting virus inspections in emergency situations (eg, COVID-19) and a framework that can simulate this on a city map. A* and navigation mesh data structures, which are widely used pathfinding algorithms in virtual environments, are effective when applied to CS(Computer science) problems that control Agents in virtual environments because they guide only a fixed static movement path.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olve the problem by applying it to the real COVID-19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situations to consider, such as the actual road traffic situation, the size of the hospital, the number of patients moved, and the patient processing time, rather than using only a short distance to receive a fast virus inspe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2.27.08.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