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밀 품종의 지질 관련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밀의 이용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밀 품종별 지방 관련 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밀의 조지방 함량은 백찰이 2.35%로 가장 높았고 오프리가 1.42%로 가장 낮았다. α-Tocopherol 함량은 오프리가 9.15 μg/g으로 가장 높았고, β-tocopherol 함량은 2.12 ~4.19 μg/g의 범위로 백찰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다. γ- Tocopherol 함량은 백찰, 새금강, 황금알이 각각 0.23, 0.19 및 0.23 μg/g이었고 다른 품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α-Tocotr...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8; pp. 789 - 796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8.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8.789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밀의 이용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밀 품종별 지방 관련 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밀의 조지방 함량은 백찰이 2.35%로 가장 높았고 오프리가 1.42%로 가장 낮았다. α-Tocopherol 함량은 오프리가 9.15 μg/g으로 가장 높았고, β-tocopherol 함량은 2.12 ~4.19 μg/g의 범위로 백찰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다. γ- Tocopherol 함량은 백찰, 새금강, 황금알이 각각 0.23, 0.19 및 0.23 μg/g이었고 다른 품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α-Tocotrienol 함량 분석 결과 백강이 3.83 μg/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β-tocotrienol 함량은 12.42~17.24 μg/g의 범위로 백강이 가장 높았다. 식물성스테롤의 조성은 β- 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로 그중 β-sitosterol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고소가 2,527.18 ppm으로 다른 품종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Campesterol 함량도 고소가 284.72 ppm으로 10품종에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결과 2.41~4.26 mg TE/g의 범위로 조경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의 경우 50.62~69.60%로 백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밀 품종에 따라 지질 관련 성분과 함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밀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국내산 밀의 품종별 기초자료 확보가 추가로 요구된다. We investigated the lipid components in ten wheat cultivars and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crude lipid contents of wheat cultivars varied from 1.42 to 2.35%. The α-tocopherol content of ‘Ofri’ (9.15 μg/g) and the β-tocopherol content of ‘Baekchal’ (4.19 μg/g) were higher than that in other cultivars. γ-Tocopherol contents of ‘Baekchal’, ‘Saegeumgang’, and ‘Hwanggeumal’ were 0.23, 0.19, and 0.23 μg/g, respectively, but it was not detected in any other cultivar. α-Tocotrienol content was highest in ‘Baekkang’ (3.83 μg/g), and β-tocotrienol contents ranged from 12.42 to 17.24 μg/g and were also highest in ‘Baekkang’. β-Sitosterol and campesterol contents were higher in ‘Goso’ (2,527.18 and 284.72 ppm, respectively) than in other cultivar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2.41 to 4.26 mg TE/g, and ‘Jokyoung’ had the highest level. ‘Baekchal’ had great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50.62∼69.60%). The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wheat cultivar lipids and will aid the utilization of wheat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 industries.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8.7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