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및 폐쇄형 근위경골절골술의 최신 지견과 장기 추시 결과

근위경골절골술은 무릎의 내측부에 통증을 동반한 연골 손상 혹은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기립 전하지 방사선촬영상에서 무릎 관절의 내반 변형을 보일 때 시행할 수 있는 관절 보존 술식이다. 근위경골절골술의 장점은 본인의 관절을 보존하고 환자의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폐쇄형 및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모두 훌륭한 임상적 결과를 보여준다. 폐쇄형 근위경골절골술은 골유합에 관한 걱정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교정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비골 신경 마비의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문헌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3; pp. 216 - 226
Main Authors 한재휘(Jae Hwi Han), 나경욱(Kyung Wook Nha), 이성산(Sung-Sah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근위경골절골술은 무릎의 내측부에 통증을 동반한 연골 손상 혹은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기립 전하지 방사선촬영상에서 무릎 관절의 내반 변형을 보일 때 시행할 수 있는 관절 보존 술식이다. 근위경골절골술의 장점은 본인의 관절을 보존하고 환자의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폐쇄형 및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모두 훌륭한 임상적 결과를 보여준다. 폐쇄형 근위경골절골술은 골유합에 관한 걱정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교정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비골 신경 마비의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문헌들을 통해 10년 추시 생존율을 보았을 때, 폐쇄형 근위경골절골술의 10년 추시 생존율은 53.0%–89.3%,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은 81.7%–90.0%로 보고되었다. 환자의 무릎 상태와 모양을 고려해서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A high tibial osteotomy (HTO) is a joint-preserving surgery for symptomatic medial compartmental cartilage or meniscal disorders in the presence of lower extremity varus malalignment. The benefits of HTO over joint replacement procedures include joint preservation and the potential to help patients maintain higher activity levels. Both closed-wedge (CW) and open-wedge (OW) HTO showed excellent postoperative satisfaction. CWHTO achieved better bone union. OWHTO has the advantage of the ease of alignment correction and reduced risk of peroneal nerve palsy. Based on past literature, the 10-year survivorship of CWHTO and OWHTO ranged from 53.0%–89.3% and 81.7%–90.0%,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ropriate surgical method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kne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3.216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3.58.3.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