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폰스 무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회화기법 표현에 관한 연구 -〈슬라브 서사시〉작품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알폰스 무하의 작품 <슬라브 서사시>에서 나타나는 회화적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그의 표현성을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알폰스 무하는 체코 작가로서 새로운 장식적 회화형식의 작품을 통해 19세기 말 프랑스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대변하는 근대 미술의 중심 작가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대상인 <슬라브 서사시(Slavic Epic)> 연작은 독특하게 19세기에 재해석된 15세기 템페라, 유화, 혼합기법을 활용한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역사화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재료 기법적 관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4; pp. 127 - 140
Main Author 시원상(Sie, Won S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0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알폰스 무하의 작품 <슬라브 서사시>에서 나타나는 회화적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그의 표현성을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알폰스 무하는 체코 작가로서 새로운 장식적 회화형식의 작품을 통해 19세기 말 프랑스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대변하는 근대 미술의 중심 작가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대상인 <슬라브 서사시(Slavic Epic)> 연작은 독특하게 19세기에 재해석된 15세기 템페라, 유화, 혼합기법을 활용한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역사화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재료 기법적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그의 회화적 표현성의 재정립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작은 1912년부터 1928년까지 약 16년에 걸쳐 제작한 20여 편의 작품으로 범슬라브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작품은 슬라브 민족의 역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게는 4미터, 크게는 8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대작들로 구성하여 표현하였다.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심표현, 템페라 혼합기법의 사용은 그의 주된 아르누보 장식적 회화기법인 수채 및 석판 기법, 그리고 19세기 당시 대중적인 유화 기법과 비교했을 때 이질적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슬라브 서사시> 연작이 템페라 혼합 표현기법으로 제작하게 된 원인을 무하의 시대적 배경을 통해 알아보고 그의 표현성과 연계하여 분석할 것이다. 연구방법은 <슬라브 서사시> 작품에 대한 회화 기법적 분석 보고서 및 연구가 없다. 그래서 그에게 영향을 준 뮌헨 아카데미, 프랑스의 줄리안 아카데미, 콜라로시 아카데미 등의 커리큘럼에 의한 그의 표현성을 선행연구로 진행하여 무하의 회화기법을 분석 연구한다. 그리고 이 분석을 통해 나타난 템페라 혼합기법의 특성과 같은 기법을 사용한 작가, 오토 딕스의 기법을 비교 연구한다. 본 연구는 알폰스 무하의 작품 <슬라브 서사시>연작을 기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에 나타난 복합적 표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회화기법의 융합을 통해 나타난 표현성이 새로운 회화적 양식의 표현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s in Alphonse Mucha’s work <The Slav Epic> and to explore his expressiveness. Alphonse Mucha, a Czech artist, is a central figure in modern art representing the Art Nouveau style of late 19th-century France through his works in a new decorative painting style. Howeve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series <The Slav Epic>, uniquely appears in the form of typical neoclassical historical paintings using tempera, oil, and mixed techniques reinterpreted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his pictorial expressiveness. This series, created over approximately 16 years from 1912 to 1928, consists of about 20 works based on the concept of Pan-Slavism. Each work is expressed in various sizes, ranging from 4 meters to 8 meters, to effectively convey the history of the Slavic people. The central expression and the use of tempera mixed techniques in the works are different from his main Art Nouveau decorative painting techniques, such as watercolor and lithography, and the popular oil painting techniques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reasons why the series <The Slav Epic> was created using tempera mixed expression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ucha and analyze it in connection with his expressiveness. Since there are no reports or studies on the painting techniques of <The Slav Epic>, the research method will proceed with a preliminary study on his expressiveness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Munich Academy, the Julian Academy in France, and the Colarossi Academy, which influenced him, to analyze Mucha’s painting techniques.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 mixed techniques revealed through this analysis with the techniques of Otto Dix, who used similar techniques. By technically analyzing Alphonse Mucha’s series <The Slav Epic>,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complex expressiveness revealed in the works. Furthermore, it aims to suggest that the expressiveness resulting from the fusion of various painting techniques can advance to the expressiveness of a new pictorial styl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5&idx=2649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5.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