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청소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척도별 Cronbach's α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 매개분석방법(Three-stepmediated regression analy...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1) Vol. 24; no. 11; pp. 741 - 75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1.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1.741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청소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척도별 Cronbach's α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 매개분석방법(Three-step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회복탄력성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불안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사회적 불안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며 청소년들이 주어진 상황에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강점과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eenager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Busan. In order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Cronbach's α was performed for each scale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frequency analysis and measurement tools. Next, to verify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Baron & Kenny. As a result, first of all, there was an inappropriate correlation between overdependence and resilience of smartphones, and social anxiety was a static correlation.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anxiety on recovery elasticity,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anxiet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hese results require field efforts to increase resilience in order for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to reduce social anxiety, and activities to help teenagers maintain a positive and optimistic attitude toward a given situ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programs that can develop the strengths and potential of teenagers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i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1.7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