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식 점도계를 이용한 상업용 증점제의 점도 분석법 검토

본 연구는 회전식 점도계를 사용하여 6종의 증점제에 대한 점도 분석과 method validation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점도 범위를측정하고자 식품첨가물공전에 명시되어 있는 증점제 중 점도 범위가 겹치지 않는 6종의 증점제를 선정하였다. 측정 가능한 모든 rpm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 glucomannan은 100 rpm에서 3,052.00- 3,094.00 cp, guar gum은 50 rpm에서 2,428.00-2,548.00 cp, xanthan gum은 100 rpm에서 1,584.00-1,650.00 cp의 값이 나타났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1; pp. 1 - 7
Main Authors 반영란(Younglan Ban), 정향연(Hyangyeon Jeong), 윤소정(Sojeong Yoon), 박현진(Hyunjin Park), 홍성준(Seong Jun Hong), 조성민(Seong Min Jo), 이양봉(Yang Bong Lee), 신의철(Eui-Cheol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01.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회전식 점도계를 사용하여 6종의 증점제에 대한 점도 분석과 method validation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점도 범위를측정하고자 식품첨가물공전에 명시되어 있는 증점제 중 점도 범위가 겹치지 않는 6종의 증점제를 선정하였다. 측정 가능한 모든 rpm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 glucomannan은 100 rpm에서 3,052.00- 3,094.00 cp, guar gum은 50 rpm에서 2,428.00-2,548.00 cp, xanthan gum은 100 rpm에서 1,584.00-1,650.00 cp의 값이 나타났으며, locust bean gum은 50 rpm에서 111.40-119.20 cp, pullulan은 100 rpm에서 117.00-132.40 cp, 그리고 polyvinyl alcohol은 100 rpm에서 6.40-6.98 cp의 값이 나타났다. 해당 rpm으로 측정한 결과가식품첨가물공전에 기재된 점도 값과 가장 유사한 값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 검증을 실시한결과, 3개의 기관에서 진행한 실험의 점도 결과가 모두 유사한경향을 보였으며, 3기관 모두 점도 값이 glucomannan, guar gum, xanthan gum, pullulan, locust bean gum, 그리고 polyvinyl alcoho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첨가물공전에 기재된 점도 값과본 연구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다소 큰 것으로 보아, 이는 점도 측정 시 샘플의 측정 온도, spindle, 그리고 회전 속도(rpm)에따른 차이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통해회전식 점도계를 이용한 증점제 6종(xanthan gum, glucomannan, guar gum, locust bean gum, pullulan, polyvinyl alcohol)의 점도측정법에 대한 공인 시험법의 개선이 정확성과 객관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viscosity of six food additives used as thickeners (xanthan gum, glucomannan, guar gum, pullulan, locust bean gum, and polyvinyl alcohol) was verified using a Brookfield rotational viscometer. Pullulan was prepared in a 10% aqueous solution, and other samples were prepared in a 1% aqueous solution. The measurements showed that glucomannan had a high viscosity value of >3,000.00 cp, compared to guar gum with >2,500.00 cp and xanthan gum with >1,000.00 cp. Locust bean gum and pullulan had low viscosity values of 110.00 cp and polyvinyl alcohol had low viscosity values of 6.60 cp. All samples were subjected to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analyses. As a result of cross-validation performed by the institution, similar viscosity values were achieved for each sample. Therefore, this data show that the rotary viscometer can contribute to high precision when measuring viscosity. KCI Citation Count: 0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4.5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