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M.9 접목묘를 이용한 사과나무 2축 수형 구성과 재식거리에 따른 초기 생장과 생산성
본 연구는 ‘후지’/M.9 접목묘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식밀도(열간거리 3m × 주간거리 1.5m, 1.2m, 1.0m, 0.8m)로 사과나무2축형 과원을 조성하고 개원초기 4년간 수형구성 방법 모색과 재식밀도에 따른 나무생육과 조기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폭이 좁은 2축형 수관 구성은 생육기 순지르기, 도장지 또는 원줄기와 경쟁하는 가지는 8월 이후 제거, 너무 길거나 굵은가지는 겨울철 단축 또는 갱신전정을 하는 관리방법이 필요하다. 유목기 영양생장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단과지형 결과지 형성은 오히려 증가...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41; no. 5; pp. 560 - 57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10.2023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3004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후지’/M.9 접목묘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식밀도(열간거리 3m × 주간거리 1.5m, 1.2m, 1.0m, 0.8m)로 사과나무2축형 과원을 조성하고 개원초기 4년간 수형구성 방법 모색과 재식밀도에 따른 나무생육과 조기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폭이 좁은 2축형 수관 구성은 생육기 순지르기, 도장지 또는 원줄기와 경쟁하는 가지는 8월 이후 제거, 너무 길거나 굵은가지는 겨울철 단축 또는 갱신전정을 하는 관리방법이 필요하다. 유목기 영양생장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단과지형 결과지 형성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4년차 수광률은 37–42%로 재식거리 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당 누적 수량은 1.5m, 1.2m, 1.0m, 0.8m에서 각각 8.7kg, 9.3kg, 9.9kg, 10.3kg으로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2축형 수관 구성에 있어 가지 유인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재배기술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2축형 과원조성 4 년차까지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영양생장은 감소하였고 과일벽 형태의 수형 구성에 유리하였으며 주당 누적 생산량은 증가하였다. 다만, 주간거리 0.8m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소 수세가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bi-axis apple orchard with various planting distances (between- and within-row spacing at 3 m×1.5 m and 1.2 m, 1.0 m, 0.8 m, respectively) using ‘Fuji’/M.9 grafts to manipulate the tree shape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orchard’s lifespan (up to four years after planting) and to compare tree growth outcomes and initial yields according to the planting distance.
The configuration of a bi-axis tree shape with a narrow canopy width requires pinching of the shoots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removal of water sprouts or branches competing with the main stem after August, and the shortening of overly long/thick branches or renewal pruning in winter. In the early years of orchard establishment, vegetative growth decreased as the planting density increased, whereas the formation of spur-type fruit-bearing branches tended to increase. The light interception during the fourth year of planting was 37– 42%,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lanting methods. The cumulative yields (kg/tree) were 8.7, 9.3, 9.9, and 10.3 at planting distances of 1.5 m, 1.2 m, 1.0 m, and 0.8 m, respectively. The yield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planting dist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here suggest that the bending of branches d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ee shape in bi-axis orchards is not necessary. Until the fourth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bi-axis apple orchard, with an increase in the planting density, the vegetative growth decreased, favoring fruit formation and an increased cumulative yield per tree. At a planting distance of 0.8 m, however, tree vigor was reduced slightly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30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