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프로그램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국내문헌을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자가관리프로그램 연구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과정은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of Systemic Reviews and) 2020 statement과 개정된 Cochrane Meta Analysis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 4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2) Vol. 24; no. 12; pp. 817 - 82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2.817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자가관리프로그램 연구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과정은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of Systemic Reviews and) 2020 statement과 개정된 Cochrane Meta Analysis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 4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선정된문헌의 동질성 및 효과크기에 대한 분석은 코크란 연합의 review manager [RevMan] 5.4 ver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효능감에 대해 보고한 논문 5편을 분석한 결과 동질성 검정은 Q(Chi²)=4.01, df=4(p=.40); I²=0%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크기는 0.63(95% CI: 0.39, 0.87)로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기효능감에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5.09, p<.001). 자가간호이행에 대해 보고한 논문 7편을 분석한 결과 동질성 검정은 Q(Chi²)=34.78, df=6(p<.001); I²=83%로 나타났다. 자가간호이행에 대한 효과크기는 1.10(95% CI: 0.58, 1.63)로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기간호이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4.11, p<.001). 결론: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해 교육적 요소와 심리·사회적 요소를 함께 구성한 중재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러한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혈액투석환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research data on self-management programs implemented for hemodialysis patients and estimate th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compliance through meta-analysis. Method: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of Systemic Reviews and) 2020 statement and the revised Cochrane Meta Analysis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 4 systematic review reporting guidelines. The homogeneity and effect size of the selected literature were analyzed using the Cochrane Collaboration's review manager [RevMan] version 5.4.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five papers reporting on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elf-management program, the homogeneity test was Q (Chi²) = 4.01, df = 4 (p = .40); I²=0%. The effect size for self-efficacy was 0.63 (95% CI: 0.39, 0.87),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Z=5.09, p<.001). As a result of analyzing seven papers reporting on self-management compliance, the homogeneity test was Q(Chi²)=34.78, df=6 (p<.001); I²=83%. The effect size for self-management compliance was 1.10 (95% CI: 0.58, 1.63),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compli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Z=4.11, p<.001). Conclusions: We propose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ombines educational and psychosocial elements to promote self-manage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This intervention program will contribute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health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2.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