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시장에 버블이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지역별 오피스텔 시장에 버블이 존재하는지를 전국, 지방, 수도권과 서울시 5대 권역의 오피스텔 월세가격, 오피스텔 매매가격을 2018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태공간모형과 칼만필터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추정된 합리적 버블의 크기를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최대값 2.1%, 최소값 -3.2%, 중앙값 0.9%, 평균 0.5%, 표준편차 1.2%이며 지방은 최대값 0.8%, 최소값 -6.4%, 중앙값 0.2%, 평균 -0.8%, 표준편차 2.0%로 서남권은 최대 4.3%, 최소 0.0%, 중앙값...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7) Vol. 24; no. 7; pp. 416 - 424
Main Author 전해정(Hae-Jung Ch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7.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7.41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지역별 오피스텔 시장에 버블이 존재하는지를 전국, 지방, 수도권과 서울시 5대 권역의 오피스텔 월세가격, 오피스텔 매매가격을 2018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태공간모형과 칼만필터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추정된 합리적 버블의 크기를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최대값 2.1%, 최소값 -3.2%, 중앙값 0.9%, 평균 0.5%, 표준편차 1.2%이며 지방은 최대값 0.8%, 최소값 -6.4%, 중앙값 0.2%, 평균 -0.8%, 표준편차 2.0%로 서남권은 최대 4.3%, 최소 0.0%, 중앙값 2.3%, 평균 2.2%, 표준편차 1.1%로 나타났다. 서울과 수도권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버블수준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서울 서남권은 가장 높은 버블 수준을 나타난 반면 지방권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버블수준이 적고 표준편차를 감안했을 때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는 시사점은 최오피스텔 시장의 경우도 지역별로 차이는 존재하지만 버블이 존재함을 확인한 바, 정부는 오피스텔 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오피스텔 시장 안정화에 힘써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bubble exists in the officetel market by region by using state space model and Kalman data on officetel monthly rent and sales price in five major regions of Seoul, province, metropolitan area, and nationwide from January 2018 to March 2024 using Kalman filter and state space model. Looking at the size of the estimated reasonable bubble, for the metropolitan area, the maximum is 2.1%, the minimum is -3.2%, the median is 0.9%, the average is 0.5%,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1.2%, and for province, the maximum is 0.8%, the minimum is -6.4%, and the median is 0.2%. , the average was -0.8%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2.0%, with the southwest region showing a maximum of 4.3%, a minimum of 0.0%, a median of 2.3%, an average of 2.2%,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1%.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showed a larger bubble level than other regions, and in particular, the southwestern area of ​​Seoul showed the highest bubble level, while local areas showed a relatively small bubble level and high volatility considering the standard devi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although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officetel market,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bubble exists.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continuously monitor the officetel market and make efforts to stabilize the officetel market through thi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7.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