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디자인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간호관리학실습 여정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관리학실습 여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상적 간호관리학실습교과목 설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간호관리학실습 블루프린트를 기반으로 학생과 현장지도자의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2개 대학의 졸업생 13명과 현장실습지도자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은 간호관리학실습동안 실습오리엔테이션, 실습준비, 병동오리엔테이션, 실습활동, 실습컨퍼런스, 과제물 제출의 6단계의 실습여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은 병동실습오리엔테...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8; no. 3; pp. 214 - 22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간호행정학회
01.06.2022
간호행정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330 2288-4955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관리학실습 여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상적 간호관리학실습교과목 설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간호관리학실습 블루프린트를 기반으로 학생과 현장지도자의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2개 대학의 졸업생 13명과 현장실습지도자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은 간호관리학실습동안 실습오리엔테이션, 실습준비, 병동오리엔테이션, 실습활동, 실습컨퍼런스, 과제물 제출의 6단계의 실습여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은 병동실습오리엔테이션과 실습활동을 통해 현장실습지도자를 만나고, 실습오리엔테이션과 실습컨퍼런스를 통해 임상실습지도교원을 만났다. 실습활동과 현장지도자의 지도를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간호관리학실습 교육을 받는 학생의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학생의 임상실습경험을 향상시키고 학생 중심의 실습교육으로 전환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nursing students’ experience with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based on the service design concept to provide a basis for an ideal subject design.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analyzed the experience of students and their clinical instructors based on the blueprint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graduates from two nursing schools and 11 clinical instructors from three hospitals. Results: The students went through six stages during the practicum. They met clinical instructors during the ward orient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wards and met school instructors during the general orientation and conference. The students perceived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from the clinical instructors in wards as the most important practicum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which helped us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experience with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as the time passed by.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improve students’ experience with the practicum and convert the subject into a more learner-centered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