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2.5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프로폴리스와 머위 잎 혼합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와 머위잎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프로폴리스와 머위잎 혼합추출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반응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 PM2.5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 프로폴리스와 머위잎 각각의 추출물을처리했을 때 보다 이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할 때 NO와 TNF- α, IL-1β와 IL-6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프로폴리스와 머위잎 혼합추출물을 PM2.5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초...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5; pp. 556 - 563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4.56.5.556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와 머위잎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프로폴리스와 머위잎 혼합추출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반응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 PM2.5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 프로폴리스와 머위잎 각각의 추출물을처리했을 때 보다 이들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할 때 NO와 TNF- α, IL-1β와 IL-6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프로폴리스와 머위잎 혼합추출물을 PM2.5로 자극된 RAW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초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를 세포보호 효능 및 SOD와 CAT 등 항산화 효소의 활성과 세포내 GSH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프로폴리스와 머위잎 혼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PM2.5에의해 증가한 NF-κB, p38, JNK, ERK의 인산화 억제 효과가 단일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에 비하여 시너시효과가 있었으며, 이를통한 염증 억제 효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프로폴리스와 머위잎혼합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성 질환제어에 기능성소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M2.5 is a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 threatening human health as it causes serious harm when inhal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mixed Petasites japonicus leaf and propolis extract (PJP) in RAW264.7 cells stimulated with PM2.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eatment with PJP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and IL-6 in PM2.5-stimulated RAW264.7 cells. Additionally, PJP treatment restored the level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in RAW264.7 cells, which had been reduced by PM2.5 exposure. PJP treatment also inhibited NF-κB and MAPK activation in RAW264.7 cells exposed to PM2.5, demonstrating its role in suppressing the key pathways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JP can effectively inhibit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duc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supporting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a nutraceutica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24.56.5.5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