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rcetin 유사체가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quercetin 및 그 유사체가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MTT assay를 통해 quercetin 유사체가 MC3T3-E1 세포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분화 표지 유전자인 Dlx5와 Runx2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ALP 염색 및 ARS 염색을 통해 quercetin 유사체가 ALP 효소 활성과 세포외 기질의 무기질화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zebrafish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도 querc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10; pp. 1035 - 1041
Main Authors 김경민(Kyeong-Min Kim), 장종윤(Jongyun Jang), 임용주(Young-Ju Lim), 강동욱(Dong Wook Kang), 장원구(Won-Gu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10.10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quercetin 및 그 유사체가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MTT assay를 통해 quercetin 유사체가 MC3T3-E1 세포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분화 표지 유전자인 Dlx5와 Runx2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ALP 염색 및 ARS 염색을 통해 quercetin 유사체가 ALP 효소 활성과 세포외 기질의 무기질화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zebrafish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도 quercetin 유사체가 zebrafish의 꼬리지느러미 재생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조골세포 분화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quercetin 유사체는 quercetin보다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은 quercetin 유사체가 quercetin에 비해 조골세포 분화를 더 촉진하여 골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quercetin and quercetin analog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alogs (Q-176, -183, -192) obtained by synthesizing gallic acid and quercetin were not toxic to MC3T3-E1 cells as determined by MTT assay but increa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Dlx5 and Runx2 (oste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ALP and ARS staining showed that quercetin analogs increased ALP enzyme activity and extracellular matrix mineralization. In addition, quercetin analogs increas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increasing caudal fin regeneration in zebrafish. In this study, quercetin analogs more effectively promot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an quercetin, which suggests they have potential us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one-related diseas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10.1035